2학기부터 초·중·고등학교가 전면 대면수업을 재개하는 가운데 대학도 2학기부터 대면강의가 확대된다. 실험·실습·실기 강의와 소규모 강의부터 대면강의를 실시하고, 10월부터는 전반적인 강의와 동아리 등 각종 활동이 대면으로 전환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1학년도 2학기 대학의 대면 활동 단계적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교육부는 2학기에 실험·실습·실기 및 소규모 수업을 우선으로 대면강의를 실시하고, 전 국민의 70%가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한 시기를 기점으로 전반적인 대면 활동을 확대할 것을 권고했다.
교육부는 특히 실험·실습·실기 강의의 비중이 높은 전문대에 대해 엄격한 방역하에 대면수업을 확대할 방안을 강구할 것을 강조했다.
백신 접종 상황과 맞물려 10월부터는 전반적인 대면 활동이 확대된다. 학생식당과 도서관 등 학내 시설은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동아리 등 학생 활동은 인원 제한을 완화하며 행사도 방역 지침을 준수해 개최할 수 있다.
다만 교육부 관계자는 “대규모 축제 등은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또 대면수업에 출석하기 어려운 유학생과 장애학생, 코로나19에 확진된 학생들을 위한 대학 차원의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입국하지 못한 유학생과 격리 학생들에게는 대체 원격수업을 마련하고, 학사상 불이익 방지 조치를 마련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
유 부총리는 "2학기 대면수업 확대가 대학의 일상을 회복하고, 학생들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잘 챙기겠다"며 "방역과 교육 모두 조화시킬 수 있도록 질병관리청, 대학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