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개막 일주일째르 맞고 있는 일본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만명을 넘어서며 결국 긴급사태 발령 지역을 크게 확대한다.
30일 NHK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저녁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현재 도쿄에만 발령 중인 긴급사태를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등 수도권 3현과 간사이 오사카부로 확대할 예정이다. 기간은 다음달 2일부터 31일까지가 될 예정이다.
지난 12일부터 긴급사태가 선언된 도쿄도와 오키나와현도 발령 기한을 당초 22일까지에서 31일까지로 연장한다. 결국 도쿄올림픽에 이어 24일 개막하는 도쿄패럴림픽 까지 긴급사태 선언 아래 치러지는 셈이 됐다.
일본 정부가 긴급사태를 전국 각지로 확대하는 것은 도쿄뿐 아니라 전국에서 코로나 신규확진자가 무섭게 폭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날(29일) 일본 전역에선 총 1만 699명이 새로 코로나 신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지난해 처음으로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하루 1만명 넘는 감염자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올림픽 개최지인 도쿄도가 3865명, 인근 가나가와현이 1164명 신규 확진자를 확인했다. 모두 역대 하루 최다 확진자 기록이다.
이처럼 확산세가 심상치않자 일본의사회를 포함한 의료단체 9곳은 긴급성명을 내고 전국 전역에 긴급사태를 발령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병상 부족으로 의료체계 붕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이 없다는 이유로 (비상사태선언을) 발령하지 않는다는 자세는 늦는다”며 “정부가 먼저 빨리 조치를 취해달라”고 했다.
일본 정부는 현재 코로나 감염자 급증세는 도쿄올림픽과는 무관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올림픽 관계자들의 경우 ‘버블 방역’을 통해 일반 시민들과의 접촉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홍보부장도 전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현재 도쿄의 코로나 확진자 급증세와 관련해 “패러랠 월드(평행세계)와 같은 것으로 올림픽 때문에 도쿄에서 확산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하지만 도쿄올림픽 개최에 따른 축제 분위기가 유동인구 확대 등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점에서 올림픽과 감염자 증가는 무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확진자가 당분간 더 증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2주일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올림픽 개막식 전후 4연휴의 영향은 아직 감염자 숫자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