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 소득 하위 88%에 1인당 25만원씩 지급하는 국민지원금이 추석 전에 시작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추석 전 90% 지급, 국민지원금 추석 전 지급 개시, 그리고 서민금융진흥원에서의 출연을 통한 서민금융 공급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지원금은 기본적으로 가구소득 하위 80% 이하인 가구의 구성원이 대상이다. 다만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에는 특례기준이 적용돼 전 국민의 약 88%가 받는다.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 기준과 국민지원금 사용처 등은 지급 시작 전에 별도로 발표할 예정이다.
지급 방식은 지난해 전 국민 재난지원금처럼 온·오프라인으로 신청해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가운데 택하면 된다.
또 추석을 앞두고 성수품 공급을 30일부터 25% 이상 늘릴 계획이다. 특히 계란, 소·돼지고기, 쌀 등 4대 품목은 집중적으로 관리해 가격 상승에 주의를 기울일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이달 말까지 국민지원금 지급 준비를 마치되 지급 시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을 고려, 방역당국과 협의해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해 41조원의 신규 금융지원과 사회보험료·공과금 등의 납부유예도 3개월 더 연장한다.
홍 부총리는 “부가가치세·종합소득세 납부기한을 내년 1∼2월로 연장하고. 고용·산재·국민연금 보험료와 전기·도시가스 요금의 납부유예 등 지원을 3개월 재연장하겠다”고 말했다.
9월까지 시행 예정인 사회보험료와 공과금을 납부유예하거나 납부예외 조처를 12월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또한 근로·자녀장려금 약 4조1천억원은 지급 시기를 당초 9월 말에서 이달 말로 한 달 앞당긴다.
아울러 서민금융진흥원 출연을 통한 서민금융 공급은 연간 7조∼8조원에서 9조∼10조원으로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