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사(社)의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후 소장이 썩는 증상 등을 보였던 20대 초등학교 교사가 끝내 목숨을 잃었다.
8일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3일 광주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초등학교 교사 A(24·남) 씨가 사망했다. 그는 지난 7월 28일 순천의 한 동네 병원에서 화이자 백신을 1차 접종했다.
A 씨는 ‘1차성 레이노(손끝 쪽 혈관 연축)’와 ‘기무라 병(귀 주위 염증 질환)’을 앓고 있었지만, 평소 운동도 꾸준히 하고 술도 거의 마시지 않아 9월 입대를 앞뒀을 만큼 건강했다.
교사인 만큼 백신을 맞지 않을 수 없었던 A씨는 담당 의사의 괜찮다는 의견을 듣고 백신을 접종했다.
백신 접종 후 A 씨는 벼운 소화불량으로 소화제를 복용했는데 지난 8월 10일 극심한 고통을 호소해 근처 종합 병원에 입원했다. 종합 병원 담당 의사는 "백신 부작용이다. 우리 병원에서 치료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니 대학 병원으로 빨리 가라"고 조언했다.
이에 A씨는 대학 병원 응급실을 찾았지만 화이자 접종과 관계없고 기저 질환 때문인 통증이라며 약 처방만 해주고 돌려보냈다.
그러나 A씨는 다음 날에도 극심한 고통을 호소했고 이전에 방문했던 종합병원 응급실에 실려갔다. 해당 병원은 "왜 다시 왔나. 이건 백신 부작용이 맞고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라며 대학병원으로 다시 A씨를 이송했다.
결국 A씨는 지난 8월12일 혈전이 간 문맥(혈관)을 막아 소장이 썩어 전체 소장의 절반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이후 일반 병동으로 옮겨지며 상태가 나아지는 듯했으나 주말을 넘긴 뒤 많은 피를 쏟으며 정신을 잃었다. 중환자실로 다시 이동한 A씨는 재수술을 반복했으나 결국 지난 3일 오후 10시 사망했다.
이같은 사연은 A씨의 여동생이 지난달 28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글을 올리면서 알려졌다. A씨 여동생은 “병원에서는 부작용이라기에는 기간이 너무 길고 기저질환이 있다는 이유로 (백신 부작용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백신 부작용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멀쩡하게 잘 살던 사람의 간이 망가지고 소장이 썩을 수 있느냐”고 주장했다.
유족 측은 "질병청은 자세한 설명 없이 보건소를 통해 역학조사 결과를 전달하겠다는 말만 하더라. 백신을 맞아도 된다고 했던 의사와 정부는 지금 무엇을 책임져주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정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부작용에 철저히 대응해 억울한 일이 없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