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많은 사망자를 낸 인도에서 이번에는 치명률이 75%에 달하는 '니파 바이러스'가 등장해 현지 보건당국을 또 다시 긴장에 몰아넣었다.
7일(현지시간) 인도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인도 남부 케랄라주(州)에서 니파 바이러스 감염 판정을 받은 12세 소년 모하메드 하심이 사망한 후 전날까지 유사 증상을 보인 환자가 11명으로 늘어났다.
앞서 지난 5일 케랄라 주에선 니파 바이러스 감염 판정을 받은 12세 소년 모하메드 하심이 병원에 입원한 지 1주일 만에 사망했다.
케랄라주 비나 조지 보건장관은 “하심과 접촉했던 8명의 1차 접촉자들의 샘플 검사 결과 다행히 모두 음성으로 판정됐다”며 “앞서 고열 등 바이러스 의심 증상이 나타났던 소년의 어머니 등도 정상 체온을 되찾은 상태”라고 발표했다.
인도 보건 당국은 하심과 밀접 접촉한 30명을 격리하고, 직간접적으로 접촉한 251명에 대한 추적 감시를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129명은 의료진이다. 당국은 감염 우려자의 샘플도 채취해 정밀 검사를 진행 중이다.
이처럼 인도 보건 당국은 니파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총력을 다하는 것은 니파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최대 75%에 달하는 전염병이기 때문이다. 또 사람과 동물이 모두 감염될 수 있는 ‘인수 공통 감염병’이면서 뇌염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는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항바이러스제를 통한 증상에 대한 치료만 가능하다.
니파 바이러스는 1998년 말레이시아 니파에서 처음 발견돼 당시 1년 동안 말레이시아에서만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이후 2001년과 2007년 인도 웨스트벵골 주에서 니파 바이러스가 발견되면서 50명 이상이 숨졌다. 지난 2018년에는 케랄라 주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되며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 바이러스는 처음에는 돼지로부터 전염된 것으로 생각됐으나, 이후 과일박쥐로부터 옮아 온 것으로 드러났다.
감염 후 바이러스 증상이 발현하기 전 잠복기는 5일~14일로 초기에 고열, 두통, 어지러움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다가 뇌염 증상이 갑자기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중증 환자를 중심으로 뇌염과 발작이 발생하며, 24시간~48시간 이내에 혼수상태에 빠지게 된다.
문제는 이번 사태가 인도에서의 니파 바이러스 유행으로 번질 경우 다시 방역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인도 정부는 자체 개발 백신인 코비실드 등을 대량으로 접종하며 한때 40만명대였던 코로나19 대유행 국면을 간신히 벗어난 상황이다.
다만 아직도 하루 3만명 대의 확진자가 꾸준히 나오고 있고, 특히 케랄라 주는 인도 내에서도 가장 많은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