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0일 예고한대로 서울을 비롯한 전국 14개 지역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총파업 투쟁을 강행한다. 학교 급식과 돌봄, 민원 업무 등에 차질이 예상된다.
민주노총은 이날 "불평등 타파와 평등 사회로의 대전환을 위한 첫걸음인 10·20 총파업 투쟁과 총파업 대회가 오늘 서울을 포함한 전국 14개 지역에서 동시에 개최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번 총파업을 통해 ▲비정규직 철폐 및 노동법 전면 개정 ▲코로나19 재난시기 해고금지 등 일자리 국가 보장 ▲국방예산 삭감 및 주택·의료·교육·돌봄 공공성 강화 등 3대 목표를 쟁취하겠다는 계획이다.
민주노총은 이날 총파업 투쟁에 55만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민주노총이 목표한 전 조합원 110만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지만, 역대 최대 규모다. 직전 최대 참여 인원은 2016년 박근혜 정부 퇴진 촉구 당시 파업인 36만명이다.
총파업에는 산하 조직인 금속노조,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조, 건설노조, 공무원노조, 학교 비정규직 노조 등이 참여한다.
특히 급식 조리사, 돌봄 전담사 등으로 구성된 학교 비정규직 노조는 역대 최대인 4만명 총파업 참여를 예고하면서 학생들의 급식과 방과 후 돌봄 분야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교육당국은 일단 빵과 우유 등으로 급식을 대체하는 한편, 교직원을 투입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조합원 15만명으로 단일 공무원노조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는 이날 낮 12시부터 1시간 동안 민원 행정을 멈춤으로써 투쟁에 동참하기로 했다.
공무원들은 공무원 노조법에 따라 파업 등 쟁의 행위를 할 수 없는데, 휴게시간인 점심시간 '1시간 멈춤' 행위로 총파업에 연대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점심시간을 이용해 공공기관을 찾은 민원인들이 큰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날 가장 우려를 낳는 부분은 서울 도심을 비롯해 전국 14개 지역에서 동시다발 개최되는 대규모 집회다.
집회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과 부산, 대구, 충북, 세종 등 전국 광역 시·도 청사 일대 및 주요 거점에서 열릴 예정이다. 민주노총은 서울 3만명 등 전국 8만명이 집회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참여 규모가 가장 큰 서울 도심 집회의 경우 서울시의 집회 금지 통보로 아직까지 구체적인 장소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 7·3 노동자대회처럼 기습적으로 집회가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서울 집회는 구속된 양경수 위원장 직무대행인 윤택근 수석부위원장의 대회사를 시작으로 산하 조직의 투쟁사, 총파업 선언문 낭독, 행진 등의 순으로 약 1시간 가량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서울시는 파업대회를 불법 집회로 규정하고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대규모 집회와 물리적 충돌에 따른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전날 "마지막으로 강력히 촉구한다. 지금이라도 총파업을 철회해달라"며 "만약 총파업을 강행한다면 정부로서는 공동체의 안전을 위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한편 민주노총이 역대 최대 총파업을 예고했지만, 실제 참여 인원이 얼마나 될지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