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해인사의 문화재 관람권 징수를 봉이 김섬달식의 행위라고 지적한 발언의 파장이 급기야 불교계와 청와대 및 현 정권과의 정면 충돌로 이어지고 있어 그 심각성이 증대해지고 있다.
당사자인 정청래 의원을 비롯해 이재명 대통령 후보, 송영길 대표등이 수차례 걸쳐 불교계에 사과했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엄악해진 분위기는 가라앉지 않았고 청와대는 비서실장과 정무수석까지 종재를 위해 나섰지만 불교계는 정청래 의원의 퇴출 또는 탈당이라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오늘 21일 오후2시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예정대로 대한불교 조계종을 비롯한 불교 각종파의 승려 5000명과 불자 수백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정부규탄 승려대회가 열렸다.
전국 승려대회를 열어 정의원의 행동을 규탄하고 그의 비난이 적정 수위를 넘어섰다며 정의원의 제명과 문체부 장관의 사퇴, 문재인 대통령 사과 등을 요구한 것이다.
애초에 이번사태는 이렇게까지 크게 번질만한 사안이 아니었다.
불교계의 반발에 정청래 의원이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조기에 진심어린 사과와 반성이 있었으면 말이다.
불교계도 처음에는 정의원의 사과만 바랐던 것 아니었던가. 그러나 안하무인식의 잡아떼기식 모른체로 일관하다 사태가 커지자 허겁지겁 사과에 이르렀으나 이어 불교계의 마음은 뒤돌아선 후였다.
대통령 선거에 영향을 끼칠까 노심초사하던 이재명 후보측의 탈당 권유도 뿌리치고 재차 도화선에 불을 붙이는 형국에 결국 이르게 되었다.
보수는 최소한 양심에 걸리는 행위는 창피함을 느끼고 사과하고 반성하며 자신의 진퇴를 결정하는데 비하여 자신의 이익과 이해관계에만 충실하고 자신의 행동에 진실된 사과는 없고 급한 상황만 모면하고 회피하면 모든 것이 다 잠잠해지겠지 하는 처신이라 아니할 수 없다.
구성원의 잘못에 정다한 비판은 없고 정부규탄 승려 대회에 친여성향 인사들의 불교계를 향한 막말은 자신들의 지지층만을 믿고 행하는 국민 편가르기식의 또다른 한면이 아닌가 하는 생각과 함께 이를 바라보는 올바른 가치판단과 정의로운 미래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자세가 필요한 때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