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일 코로나19 확진자의 격리의무 해제 등 안착기 전환 여부를 결정할 때 재유행 가능성과 해외 신종변이 바이러스 영향 등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통제관(보건복지부 2차관)은 오늘(18일) 오전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말했다.
이 1통제관은 “최근 감염의 유행 상황, 재유행 가능성, 해외 신종변이 바이러스 영향, 의료대응체계 준비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면서 “전문가 및 관련 부처와 함께 논의한 후 이번주 금요일(20일) 중대본을 통해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5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2급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4주간 이행기를 거쳐 이르면 오는 23일 확진자 격리 의무를 해제하고 ‘권고’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또, “최근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는 3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일평균 10만명 이내의 확진자 수는 방역 당국이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는데 있어 충분히 관리 가능한 범위”라고 강조했다.
다만 해외에서 유입되는 변이에 대해서는 정부와 방역 당국 역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방역당국은 이와 함께 “전문가 중심의 독립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하겠다”며 “이를 통해 전문가 의사결정이 반영되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다양한 정보 시스템에 분산돼 있는 환자 정보와 진료 정보 등을 올해 12월까지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통합 연계한다”며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근거 중심 방역 정책의 토대가 마련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