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단체가 이동권과 교육권 등 장애인 권리를 보장하는 예산을 반영해달라며 출근길 지하철 시위에 나섰다.
지난 4월 중단을 발표한 지 52일 만에 재개한 것이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이동권과 교육권, 탈시설 등 장애인 권리 관련 예산을 증액해 달라고 정부에 요구해 왔다.
장애인 예산 지원 확대를 강조했던 추경호 기재부 장관은 물론, 실무자조차 면담 요구에 응하고 있지 않다며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전장연은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재개로 인해 출근길에 불편함을 겪을 시민분들에게 죄송하다”며 “2023년에 반영될 정부예산에 장애인권리예산을 반영하기를 촉구하며 5월 중 기획재정부 장관 면담을 요청했지만, 요구안을 전달할 수 있는 실무자 면담의 자리조차 성사되지 않았다”고 출근길 지하철 시위를 재개한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기획재정부가 즉각적으로 실무자를 통해 요구안을 전달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할 것을 요구한다”며 “기획재정부가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을 위한 면담을 추진한다면 ‘출근길 지하철탑니다’는 유보하겠다”고 말했다.두고 있는 저상버스 의무화 등 장애인의 권리 보장을 위해선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증장애인의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 역시 예산 부족 탓에 하루 최대 16시간을 다 지원받는 장애인은 전체 0.00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시민들을 향해선 연신 고개를 숙였다.
이 출근길 시위로 서울 지하철 4호선 운행이 한 시간가량 지연되기도 했다.
전장연 측은 기재부가 장애인 권리 예산 요구에 답하지 않으면 다음 주 월요일에도 출근길 지하철 타기 시위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