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0.25%p 금리 인상이 시장 예상에 부합했다면서도 “미 연준과 시장 간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큰 만큼 앞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오늘(2일)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시장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과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이 부총재는 오늘 회의에서 우선 “이번 FOMC 회의에서의 정책금리 0.25%p 인상은 예상에 부합했다”면서 “정책 결정문상 향후 지속적인 금리 인상 문구가 유지됐음에도 불구하고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이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인 것으로 평가되면서 금리는 하락하고 주가는 상승했다”고 말했다.
다만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은 다소 둔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너무 높다며 당분간 긴축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재차 강조한 점에 주목했다.
이 부총재는 글로벌 유동성 축소, 유럽중앙은행(ECB)·일본은행의 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중국 경제 활동 재개에 따른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 변동 같은 위험 요인의 전개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국내 금융·외환시장도 이러한 대외 여건의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환율, 자본 유출입 등 시장의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시장 안정화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