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민간인을 공격하거나 대량 학살하는 조건을 달기는 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자, 러시아가 강도 높은 경고를 내놓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가 오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반러시아 적대행위로 간주하겠다며 재차 경고했다.
마리아 자하로바 대변인은 언론 질문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양국관계에 극도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한반도 정세에 관련한 러시아의 입장에도 고려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러시아 크렘린궁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입장을 내놨다.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보내기 시작하는 것은 분쟁에 일정 수준 개입을 의미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해 한국은 유감스럽게도 러시아에 다소 비우호적인 입장을 취해 왔는데 무기 지원 가능성은 이런 입장의 연속 선상에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서방은 이 분쟁에 점점 더 많은 국가들을 끌어들이려 할 것이라고도 비난했다.
러시아는 그동안 미국 등 서방의 우크라이나 무기 공급에 대해 "'레드라인', 넘지 말아야 할 선에 근접했다", "분쟁의 당사자가 되고 있다"며 비난해 왔다.
우리나라를 직접 겨냥해서도 푸틴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경고성 발언을 한 바 있다.
핵미사일 분야에서 북한과 러시아가 협력을 재개한다면 한국은 어떤 반응을 보이겠냐고도 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이후 서방의 대러 제재에 동참한 우리나라를 비우호국으로 지정했다.
이번에 윤 대통령이 무기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