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2022년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 측정 결과 2조4927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 2021년 2조1062억원 대비 18.4%(3865억원) 높은 성과를 거뒀다고 8일 밝혔다.
SK텔레콤의 전년 대비 성장세는 △AI 돌봄과 AI 콜 등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난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보이스피싱 수발신을 차단해 고객의 피해를 줄이는 기술 등이 견인했다.
SK텔레콤은 자사가 보유한 ICT 인프라와 폭넓은 고객 접점을 활용해 사회 안전망 구축과 온실가스 감축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사회적 가치를 화폐화해 측정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주요 제품·서비스 영역 지표들의 SV측정 산식을 자사 뉴스룸에 공개해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신뢰도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 경제간접 기여성과, 환경성과는 전년 유사 수준… 사회성과가 성장세 견인
SK텔레콤의 2022년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는 영역별로 △경제간접 기여성과(고용·배당·납세)가 전년 대비 0.3%(57억원) 증가한 1조9277억원 △환경성과(환경 공정·환경 제품/서비스)는 2.7%(29억원) 감소한 -1111억원 △사회성과(제품/서비스·노동·동반성장·사회공헌)는 131.3%(3838억원) 증가한 6761억원으로 집계됐다.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고용 확대와 사업군별 경영실적 등을 통해 높은 실적을 거둔 2021년 수준을 유지했으며, 환경성과는 5G망 확대 등 지속적인 인프라 투자를 진행 중인 상황에서 에너지 효율화 및 재생에너지 적용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유지했다.
SK텔레콤은 온실가스 배출량 대부분을 차지하는 네트워크 장비의 통합(싱글랜 기술)을 비롯해 고효율 통신장비 개발 및 도입, 사옥 냉난방 조절 등 온실가스 저감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022년 성과를 견인한 사회성과는 제품·서비스/노동/동반성장/사회공헌 성과를 총망라하는 지표로, SK텔레콤의 ‘AI 컴퍼니’ 비전과 연계한 ICT 기술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긍정적인 가치를 전하며 전년 대비 131.3% 성장했다.
지자체와 치매안심센터 등을 중심으로 제공하는 AI 돌봄 및 AI 콜 서비스는 2019년 서비스 개시 시점보다 15배 이상 늘어난 5만여 명에게 제공 중이며, 사용자들의 안부 확인 및 생활지원사들의 돌봄 업무 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2023년 5월 기준 AI 돌봄 서비스 1만7300명, AI 콜 3만3000명 사용 중).
또한, AI 돌봄 서비스와 연결된 긴급 SOS 기능을 통한 구조 건수가 누적 500건을 돌파하는 등 사회안전망 강화 효과도 크다.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했을 때 “아리아, 살려줘”와 같은 간단한 말로 119나 관제센터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SK텔레콤은 음성스팸 차단 및 보이스피싱 전화연결 발신차단 서비스를 통해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동통신사 중 유일하게 경찰청 제공 범죄 번호를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전화연결 발신차단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해 범죄시도 총 10만4990건을 차단해 고객 피해를 예방했다.
SK텔레콤은 기지국, 유통망, 사옥을 비롯한 자체 인프라와 소방청, 우정사업본부 등 공공기관 인프라를 활용해 전국 7600개 소에 지진 감지 센서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전기 플러그에 연결하는 소형 센서를 활용해 설치 장비 수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의 무선 통신망 기반 지진 감지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관측 자료를 기상청 및 대학 연구기관에 무상으로 제공해 지진 감지 및 조기경보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