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23 UNESCO-KEDI 아시아태평양 지역 정책세미나 개최
  • 윤만형
  • 등록 2023-10-12 11:03:06

기사수정

▲ 사진=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 류방란)과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UNESCO Bangkok, 소장 김수현)는 10월 12일(목)에서 13일(금)까지 2일 동안 ‘2023 UNESCO-KEDI 아시아태평양 지역 정책세미나(2023 UNESCO-KEDI Asia-Pacific Regional Policy Seminar)’를 개최한다.


이 세미나는 한국교육개발원과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가 2001년부터 공동으로 개최하는 대표적인 연례행사로, 올해는 고등교육 혁신 및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혁신적 대안으로써 마이크로크리덴셜(소단위 학위과정)을 주제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아세안(ASEAN) 국가를 중심으로 한 마이크로크리덴셜 도입 사례와 주요 과제를 공유하고, 효과적인 이행 전략과 고등교육 혁신 방향에 대한 참여국 간 경험과 교훈을 나누고자 마련됐다.


이번 세미나는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원장과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 질적 교육과 포용성(Inclusive and Quality Education) 부서 마가렛 삭스-이스라엘(Margarete Sachs-Israel) 부서장, 태국 고등교육과학연구혁신부(Ministry of Higher Education, Science, Research and Innovation, MHESI) 파싯 로테라폰(Pasit Lorterapong) 차관보의 환영사에 이어 기조강연과 4개의 주제 발표 세션으로 구성된다.


1부에서 기조강연을 맡은 에디 시옹 초이 청(Eddy S.C. Chong) 말레이시아 테일러스대학교 경영 및 법학부(Faculty of Business and Law) 학장은 아세안 지역 고등교육에서의 마이크로크리덴셜의 현황을 짚어보고, 아세안 지역의 고등교육 혁신을 주도하는 마이크로크리덴셜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한다. 기조강연 이후 ‘ASEAN 지역 마이크로크리덴셜에 대한 고찰’을 주제로 아세안 사무국의 에델 아그네스 발렌수엘라(Ethel Agnes P. Valenzuela) 교육의 미래 연구 책임자, 태국 왕실 톤부리 기술대학교 번딧 티파콘(Bundit Thipakorn) 교무처장, 싱가포르 엑스프리엔츠(XpRienz Pte Ltd) 앤더슨 탄(Anderson Tan) 이사가 발표를 이어간다.


2부에서는 ‘마이크로크리덴셜의 개념 정의 및 사례’를 주제로 태국 왕실 톤부리 기술대학교 포나피트 다라사왕(Pornapit Darasawang) 국제화 부소장, 카이룰 살레 빈 모하메드 사하리(Khairul Salleh bin Mohamed Sahari) 아세안 자격조회제도위원회 위원장, 캄보디아 교육청소년체육부 분라이 니스(Bulay Nith) 고등교육과장이 마이크로크리덴셜의 정의와 사례를 제시하고, 아세안 지역에서 효과적인 관련 운영을 위한 전략적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3부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 김은영 글로벌협력실장, 말레이시아 고등교육부 아지다 아부 지덴(Azidah Abu Ziden) 고등교육과장, 라오스 교육체육부 고등교육과 비엔다봉 루앙시티데스(Viengdavong Luangsithideth)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마이크로크리덴셜 개발과 가치 부여’를 주제로 다양한 마이크로크리덴셜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 가치 증대를 위한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의 역할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고 관련 사례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한다.


4부에서는 ‘마이크로크리덴셜과 기존 고등교육 학위 프로그램 연계 방안’을 주제로 태국 왕실 톤부리 기술대학교 포나피트 다라사왕(Pornapit Darasawang) 국제화 부소장, 인도네시아 사이버 교육 연구소(ICE) 파울리나 패넨(Paulina Pannen) 소장, 싱가포르 엑스프리엔츠(XpRienz Pte Ltd) 앤더슨 탄(Anderson Tan) 이사, 아세안 자격조회제도위원회 카이룰 살레 빈 모하메드 사하리(Khairul Salleh bin Mohamed Sahari) 위원장이 전통적인 고등교육 학위 과정과 마이크로크리덴셜의 차이점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고, 고등교육 학위 과정에 마이크로크리덴셜을 연계하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특히 정부, 대학, 기업 관계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향후 정부-대학-기업의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두 번째 날 이어지는 5부에서는 인도네시아 아세안 사무국의 로저 주니어 카오(Roger Jr Chao) 교육청소년체육부소장이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마이크로크리덴셜이 가지는 의미와 기회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서 ‘아세안이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브루나이 파료노(Paryono) SEAMEO VOCTECH 지역센터 연구 책임자, 에디 시옹 초이 청(Eddy S.C. Chong) 말레이시아 테일러스대학교 경영 및 법학부(Faculty of Business and Law) 학장, 태국 왕실 톤부리 기술대학교 포나피트 다라사왕(Pornapit Darasawang) 국제화 부소장이 아세안 지역의 마이크로크리덴셜 확산과 고등교육 혁신을 위해 나아가야 할 정책적 방향을 제시한다.


이번 세미나는 향후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학과 평생교육의 교육혁신의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하는 동시에 대학과 기업, 지자체의 긴밀한 협력의 한 형태로써 그 가능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세미나 참여 희망자는 한국교육개발원 홈페이지(www.kedi.re.kr)에서 사전 등록이 가능하며, 발표 일정과 주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붙임 자료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울산교육청, 나눔과 대화로 수업 성장 해법 찾는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12일 다산홀에서 중고등학교 교원과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2025 수업 성장 나눔 대화의 날’을 열었다.      이 행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안착과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문화를 확산하고자 마련한 실천적 장으로, 현장 교원들이 수업 사례와 고민을 나누며 함께 ...
  2. 울산 화평교회, 울산동구종합사회복지관에 추석맞아 이웃사랑 나눔 실천 100만원 후원 [뉴스21일간=임정훈 ]울산 화평교회(담임목사 장지훈)는 9월 12일 금요일 10시에 울산동구종합사회복지관(관장 한영섭)을 방문하여 추석 명절을 맞아 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후원금 100만원을 전달했다.    이번 후원은 홀몸어르신, 저소득가정 등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들에게 사랑 나눔을 실천하고 더불어 살아가...
  3. 인공지능·디지털 연수로 학교 행정 효율 높인다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 9일부터 12일까지 남구 종하이노베이션센터에서 교육행정직과 교육공무직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강화 연수’를 진행했다.      이번 연수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실무 연수로 학교 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현장 행정 서비스의...
  4. 울산시, 하절기 이야기(스토리) 야시장 성료 [뉴스21일간=김태인 ]  지난 7월 18일부터 지난 9월 13일까지 약 두 달간 이어진 하절기 ‘울산의 밤, 이야기(스토리) 야시장’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울산시가 주최하고 울산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한 이번 야시장은 하루 평균 7,690명, 총 누적 14만 6,100명의 관람객이 방문해 울산의 여름밤을 환하게 밝혔다.  이번 하절기 이야기(스...
  5. 신천지의 두 얼굴 울산 청년 크루 페스티벌의 진실 [뉴스21일간=김태인 ]자료사진 "청년"의 이름 뒤에 숨은 검은 그림자, 울산 청년 크루 페스티벌의 진실2025년 9월, 울산에서 열리는 '제3회 청년 크루 페스티벌'을 둘러싼 의혹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청년 문화를 위한 축제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특정 사이비 종교 단체의 교묘한 포교 전략과 정치권과의 불편한 유착 가능...
  6. 울주군치매안심센터, 국제피플투피플 춘해보건대챕터 치매극복 선도단체 지정 (뉴스21일간/최원영기자)=울주군치매안심센터가 12일 국제피플투피플 춘해보건대챕터(춘해보건대 대학생 봉사단체)를 ‘치매극복 선도단체’로 지정하고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이번 협약은 청년 봉사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 내 치매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치매 어르신께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
  7. 신간 <강의∣롤랑 바르트의 죽음들> 프랑스 기호학자이자 문학비평가 롤랑 바르트의 콜레주드프랑스 취임 연설 「강의」, 그리고 바르트가 세상을 떠난 이듬해 자크 데리다가 발표한 애도의 글 「롤랑 바르트의 죽음들」을 묶은 책 『강의∣롤랑 바르트의 죽음들』(김예령 옮김)이 문학과지성사의 ‘채석장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하나는 바르트의 시작을, 다른 하나는 바르...
사랑더하기
sunjin
대우조선해양건설
행복이 있는
오션벨리리조트
창해에탄올
더낙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