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대장동 개발비리 의혹 사건 항소 포기를 두고, 정치권에서도 공방이 격화
국민의힘은 '항소 포기'에 대한 외압 의혹을 정조준했다.이 대통령 공소 취소 등 무죄 만들기 사전작업 아니냐는 의구심을 거듭 제기했다.항소 포기로 7,800억 원 넘는 비리 자금 국고 환수도 불가능해졌다며, 국회 긴급 현안질의와 국정조사를 제안했다.법무장관에 대한 공수처 수사와 탄핵을 거론하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더불어민주...
▲ 사진=KBS NEWS 영상 캡처각종 의혹에 적극적으로 해명하던 명태균 씨는 구속 심사 이후 말을 아꼈다.
12시간 가까운 심사 끝에, 법원은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창원교도소 내 구치소에서 대기하던 명 씨와 김 전 의원은 곧바로 수감됐다.
구속 사유는 증거 인멸 우려이다.
이들이 여러 대 휴대전화를 폐기한 적이 있어, 증거 인멸 우려가 크다는 검찰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셈이다.
명 씨는 김 전 의원으로부터 '공천을 도운 대가로' 7천 6백여만 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또, 두 사람은 지방선거 예비 후보자들로부터 공천을 미끼로 2억 4천만원을 수수한 혐의도 받는다.
함께 구속 심사를 받은 예비 후보자 2명에 대한 구속영장은 범죄 성립 여부에 대해 다툼이 있다며 기각됐다.
검찰이 명 씨와 김 전 의원의 신병을 확보하면서, '대통령 부부 공천 개입'과 '불법 여론조사' 의혹 수사에 속도가 붙을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은 지난 대선 때 명 씨가 돈을 받지 않고 당시 윤석열 후보에게 여론조사를 해준 혐의도 수사 중이다.
또, 명 씨가 김건희 여사로부터 두 차례 돈봉투를 받았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힘 이준석 전 대표와 윤상현 재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장 등 정치권 주요 인사들에 대한 소환 조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