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 도내 18개 생산단지 대상.2005년산 친환경쌀소득 현지 조사.분석 결과
도내 친환경인증쌀 소득이 관행적으로 재배.생산한 일반쌀보다 ha당 최고 3백만원 가까이 높게 나타나 친환경농업이 농가의 실질소득을 크게 증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남도는 친환경농업을 3년 이상 실천한 도내 18개 생산단지를 대상으로 지난해 2005년산 친환경쌀 소득에 대해 현지 조사.분석한 결과를 26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친환경인증쌀이 관행재배에 비해 10a당 생산량은 조금 떨어지고 경영비는 다소 많이 소요된 것으로 조사됐지만 소비자로부터 안전성과 품질을 인정받아 소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10a당 평균 소득이 유기 인증은 79만 9천원, 무농약 72만 1천원으로 각각 조사돼 관행재배 50만 5천원보다 각각 29만 4천원, 21만 6천씩 더 높았고 이를 ha(100a)당으로 계산하면, 최고 3백만원 가까이 차이가 나는 셈이다. 조수입은 10a당 유기인증 1백 18만 6천원, 무농약 1백 4만 9천원이고 관행재배는 82만 3천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는 친환경농업단지에 지원하는 사업비와 친환경농업직접지불금 등 보조금을 포함해 수익성을 비교할 경우 친환경농법 실천 농가와 관행재배 격차는 10a당 39만 1천~48만원까지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파악했다. 홍광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이 같은 조사결과는 도의 역점 시책인 친환경농업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앞으로도 지향해야 할 농정방향임을 확인한 의미있는 결과”라며 “국.내외 어려운 농업환경을 극복하고 농가 경영을 안정시킬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인 친환경농업을 적극 실천해 줄 것을 농가에 당부한다”고 밝혔다. 특히, 홍 과장은 “올해 친환경재배 단지에 ha당 평균 13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친환경농산물 통합정보망을 통해 관련 정보를 유통업체와 소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등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에서부터 유통까지 체계적인 지원관리 시스템을 구축, 농가 경영안정을 도모하고 도의 친환경농업 브랜드 가치를 높여 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생명식품생산 5개년 계획’3차년도인 올해 경지면적의 15%인 4만 9천ha의 친환경 인증목표를 설정하고 2535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친환경농업의 기본이 되는 흙을 살리고 검증된 우량 농자재를 지난해보다 10% 이상 낮은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또, 도시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각종 체험행사를 실시, 소비자와의 신뢰확보를 통해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는 등 판로확보에 주력해 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