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내 2만9683농가 77억9438만원 신청 지난해 비해 2.2배 늘어
도내 친환경농업이 점차 확산 정착되면서 친환경농업 실천농업인에게 초기 소득감소분 및 생산비 차이를 보전하기 위해 지급되고 있는 친환경농업 직불금 신청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3월초부터 이달 말까지 도내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로부터 친환경농업 직불금 신청을 받은 결과, 2만9683농가가 2만3616ha에 77억9438만원을 신청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인증단계별로는 저농약이 2만4535농가에 1만9755ha로 59억6265만원이고 무농약이 4천722농가에 3천405ha로 15억4575만원, 유기농이 426농가에 4561ha로 2억8598만원을 신청한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는 쌀을 비롯한 곡류가 2만629농가에 1만6358ha로 40억6576만원, 배 등 과실류가 3천263농가에 3천693ha로 19억4098만원, 배추 등 채소류가 4천465농가에 2천392ha로 10억7754만원, 버섯 등 기타 특용작물이 1천146농가에 1천173ha로 7억1010만원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논과 밭의 신청을 보면 논이 2만1726농가에 1만6527ha로 38억339만원을 신청했고 밭은 7천957농가에 7천89ha로 39억9099만원을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올해 신청을 지난해와 비교해 보면 농가수는 지난해 1만4463호보다 1만2742호가 늘었고 신청면적은 지난해 1만874ha보다 1만2742ha, 친환경농업 직불금은 지난해 35억8998만원보다 2.2배 늘어난 42억44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직불금 신청이 늘어난 것은 도가 친환경농업육성을 위한 생명식품생산 5개년 계획을 마련해 도정의 역점 시책으로 적극 추진하면서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와 면적이 크게 증가한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현행 친환경농업 직불금은 밭의 경우 ha당 저농약은 52만4천원, 무농약은 67만4천원, 유기농은 79만4천원이 각각 지급되고 있다. 논은 ‘쌀소득 등 보전직불금(ha당 70만원)’에 인센티브로 ha당 저농약은 21만7천원, 무농약은 30만7천원, 유기농은 39만2천원을 가산해 지급되고 있다. 앞으로 도는 친환경농업 직불금 신청사항을 농림부에 제출해 소요예산을 확보하고 신청농가에게 직불금 지급대상자로 선정됐음을 통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및 민간인증기관에 직불금 신청자 명단을 통보, 오는 6월부터 10월까지 친환경농업 이행여부를 확인토록 해 이행여부 확인결과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하게 된다. 홍광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친환경농업 실천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친환경농업 직불금 지원단가 인상과 지원규모 확대, 지원기간 연장 방안을 정부에 건의한 바 있기 때문에 제도보완을 통해 연차적으로 직불금지원이 확대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