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년대비 사업체수 4.3%, 종사자수 2.3%, 출하액 7.6%, 생산액 8.4%증가
광주시에서 매년 실시하는 광업ㆍ제조업통계조사 결과 광업ㆍ제조업체수, 종사자수, 출하액, 생산액 등이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시가 지난 6월 11일부터 7월 6일까지 실시한 『2006년기준 광업ㆍ제조업 통계조사』의 잠정결과에 따르면 종사자 5명이상 광업ㆍ제조업체수는 총 2,195개이며, 월평균 종사자수는 62,223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5년에 비해 업체수는 4.3%(91개)증가하여 광역시 중 울산(5.5%), 대전(4.7%)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월평균 종사자수는 2.3%(1,420명) 증가하여 광역시 중 울산(2.5%)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출하액은 181,637억원, 생산액은 182,236억원을 기록하여 2005년에 비해 각각 7.6%(12,788억원), 8.4%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사업체수 현황 : 자동차, 전자관련 사업체수 증가폭 커 사업체수 구성비를 보면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9%, 조립금속제품 제조업 15.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0%,기타 음ㆍ식료품 제조업이 7.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분야별로 사업체수가 증가한 업종은 전년대비 의료ㆍ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20.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15.6%),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5.3%) 등 이고, 감소한 업종은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7.3%), 조립금속제품 제조업(-1.5%) 등으로 조사되었다. ▶종사자수 현황 : 100명 이상 사업체 2.9%차지 월평균 종사자수 구성비를 보면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이 19.6%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재생용 가공원료 생산업 15.5%, 제1차 금속산업 14.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7%순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월평균 종사자 100명 이하 사업체는 97.1% (2,132개), 종사자 100명 이상 사업체는 2.9% (63개)로 나타났다. ▶출하액 현황 : 자동차, 전자관련 업종 높은 비중 출하액 구성비를 보면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34.9%로 가장 높고 다음은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3.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9%, 전자부품ㆍ영상ㆍ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6%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분야별로 출하액이 증가한 업종은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44.6%), 재생용 가공원료 생산업(37.3%),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20.5%) 등 이고, 감소한 업종은 섬유제품 제조업(-24.1%),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 제조업(-9.3%), 음ㆍ식료품 제조업(-9.2%) 등이다. ▶ 자치구별 현황 : 사업체수 및 종사자 광산구ㆍ북구에 80%이상 집중 사업체수를 자치구별로 보면 광산구가 1,222개(55.7%)로 전체의 1/2이상을 차지했고, 북구(29.7%),동구(6.8%),서구(4.6%), 남구(3.2%)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종사자의 자치구별 분포는 광산구가 62,6%(38,926명)로 가장 많고, 북구 22.2%(13,789명), 서구 12.3% (7,657명)이며, 다음은 동구와 남구가 각각 1.6%와 1.3%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실시한 광업ㆍ제조업통계조사를 통해서도 광주시가 전통적으로 제조업 기반이 강한 울산, 인천을 제외하고는 제조업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광역도시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광주시가 자동차, 전자산업 등 지역 전략산업을 적극 육성해온 결과 관련산업의 협력업체 이전과 창업이 증가한 때문으로 해석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