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선 철도로 사용됐던 대천천 舊철교가 80년 만에 친환경 인도교로 새롭게 단장 그동안 열차가 오가던 철교가 이제 시민들이 통행할수있는 친환경 교육시설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장항선 대천천 폐선 철도교량 주변 생태계복원사업을 본격 추진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이는 전국 폐선 철도부지 생태복원사업의 첫 사례다.
공단은 8억원을 투입 폐선철도 교량에 폭 3m 길이 120m의 생태 관찰로에 조류관찰 망원경 어류 관찰소 어소방틀과 녹지를 등을 조성해 구 대천역사 자리에 설치될 갯벌생태체험관과 연계된 환경교육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대천천의 구 장항선 철도교량은 그 역사가 80년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철도시설물로서 장항선 개량으로 폐선됨에 따라 철거가 불가피했으나 이번 복원사업을 통해 보령시민에게 친근한 환경교육시설로 탈바꿈함으로써, 기존의 다른 폐선시설물 활용 사례의 모범이 될 뿐 아니라 철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공단은 본 복원사업의 시행을 위해 국가에 기 납부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제도를 적극 활용하였으며, 보령시와의 긴밀한 협력 하에 자연환경 복원전문가, NGO의 자문을 받아 보다 친환경적이면서 실효성 있는 사업이 되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공단 관계자는“본 생태계복원사업은 2009년 말 준공 계획으로 향후 공단의 생태계복원사업추진의 기틀이 될 것이며, 지역사회와의 상생문화 정착, 환경친화적인 철도 이미지 제고에도 한 몫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장항선 대천천 철도교량은 1929년 12월 광천에서 남포 구간이 개통되면서 이용돼 오다가 2009년 12월 장항선 개량사업 으로 대천역이 궁촌동으로 이전하면서 80년 만에 퇴역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