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학생, 상담자 부문 우수상 동시 수상…학생 맞춤형 심리 정서 지원 효과 확인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제14회 위 프로그램 사업(프로젝트)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울산지역 학생과 상담자가 여러 부문에서 수상하며 상담 지원 체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21일 경기도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열린 이번 공모전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주관하고 교육부와 전국 시도교육...
우리나라 연평균 독서량은 성인 10.9권('08년 11.9권), 학생 16권('08년 14권)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의 독서환경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독서진흥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한 ‘2009 국민독서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1,000명)과 초·중·고생(3,0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을 통한 개별 면접조사와 학교방문을 통한 설문조사로 실시됐다. ‘2009 국민독서실태조사’는 통계청에서 국가승인통계로 승인한 종합적인 국민 독서지표 조사로서 한국출판연구소(소장 임홍조)가 대행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1년(성인) 또는 1학기(학생) 동안 1권 이상의 책(일반도서)을 읽은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독서율은 성인 71.7%('08년 72.2%), 학생 93.7%('08년 89.1%)로 조사되어 성인 10명중 3명 정도는 1년 동안 1권의 책도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독서량은 전년도에 비해 약간 감소한 반면, 학생의 독서량은 1994년 조사 이래 가장 많은 독서량을 기록했다.
성인의 독서시간은 평일 28분, 주말 29분(전년대비 1분 감소), 학생은 평일 45분, 주말 50분(전년대비 2∼4분 증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의 독서시간은 학교급이 낮을수록 독서시간(초등학생 56분 > 중학생 40분 > 고등학생 38분)이 점차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 활용시 독서의 비중이 성인의 경우 7순위, 초등학생 4순위, 중학생 6순위, 고등학생 8순위로 나타나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여가활동에서 독서의 비중은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비교대상: 책, TV, 인터넷, 신문/잡지, 수면/휴식, 모임, 운동, 영화, 음악, 게임, 휴대폰 등)
우리 국민들의 독서경향은 성인의 경우 문학(41.3%) > 실용/취미(23.2%) > 교양(15.3%) > 만화/무협지(6.4%) 순으로, 중·고생은 문학(43.4%) > 만화/무협지(23.1%), 실용/취미(19%) > 교양(13.5%) 순으로 나타났다.
세계에서 책을 가장 많이 읽는 민족은 유대인이고, 국가는 구 소련 인 것으로 알려졌다.
독서량이 유대인은 매년 개인당 64권, 구 소련은 매년 개인당 55권으로 우리나라는 OECD국가중 꼴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