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 1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면담에서 수감 중인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사오보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데 대해 미국의 유력지인 뉴욕타임스(NYT)가 3일자(현지시간) 사설을 통해 비판했다.
NYT는 반기문 총장이 후 주석과의 면담에서 기후변화, 한반도 긴장완화 노력, 수단과 소말리아의 갈등해결 방안 등에 대한 얘기를 나눴을 뿐 중국의 열악한 인권과 류샤오보의 부당한 수감 등 중요한 이슈에 대해서는 침묵했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중국의 대표적 민주화 운동가인 류샤오보는 1989년 톈안먼 시위때 단식투쟁을 했고, 오랫동안 중국의 인권 개선을 위해 비폭력적 투쟁을 전개해온 인물이지만 날조된 국가전복 혐의로 현재 수감 중인 상태라고 소개했다.
사설은 "우리는 반기문 총장 측으로부터 류샤오보 문제를 왜 제기하지 않았는지 아직까지 설명을 듣지 못했다"면서 "반 총장의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후 주석과의 회담에서 많은 주제들이 논의됐지만 인권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것은 맞다'고 밝혔지만 그것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NYT는 이어 류샤오보의 사례와 중국의 인권 문제는 반 총장의 권한이자 책임의 영역이며, 중국은 유엔의 보편적 인권 선언에 서명했고 이를 이행할 의무를 지닌 국가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특히 반기문 총장이 내년에 연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이번에 반 총장이 보여준 모습이 중국이나 다른 안보리 이사국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민감한 이슈에 대해 실효성 없는 펀치를 날리는 행동이 아니길 희망한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중국의 힘이 증대되면서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눈치를 살피고 있지만, 노르웨이의 노벨상 위원회는 류샤오보에게 상을 주지 말라는 중국 정부의 경고를 무시하면서 오히려 "중국의 새로운 위상은 더 큰 책임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사설은 결론적으로 "반 총장은 류샤오보의 노벨평화상 수상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이 왜 연임을 원하는지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면서 "미국 정부도 반 총장의 연임 지지 여부를 고민해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반 총장의 침묵에 인권단체들의 비난도 빗발치고 있다. 일부에선 반 총장이 내년 연임 결정을 앞두고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의 눈치를 본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한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의 유엔 담당 전문가 필리페 볼로피언은 2일 “반 총장은 미얀마에 아웅산 수치 석방을 요구한 것처럼 류샤오보에 대해서도 똑같은 요구를 했어야 했다”며 “반 총장이 연임을 위해 중국의 지지를 얻으려 한 것이라면, 인권문제에 용기있고 단호한 사무총장을 원하는 이들의 지지를 잃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국제앰네스티는 반 사무총장의 침묵은 “유엔 수장이 (인권에 대해) 말도 하지 못하고 강대국에게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하지도 않는다면 유엔은 대체 무슨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유엔 대변인은 반 사무총장이 “적절한 시기”에 중국에 인권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