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거점병원인 진주의료원(원장 권해영)의 노사 갈등이 심상찮다.
진주의료원은 최근 임금이 4개월 체불돼 직원들의 불만이 큰 상황에서 병원측이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구조조정안을 내놓자 노조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진주의료원은 현재의 초전동 부지로 이전하면서 경영적자에 시달려 왔다. 지난달 간호사 및 일반 직원은 4개월, 의사의 경우 2개월이 체불된 상태다.
의료원의 만성적자 구조가 해결되지 않자 최근 병원측은 경남도에 구조조정안을 제출한 바 있다. 하지만 경남도는 노사합의를 전제로 해야 수용할 수 있다며 되돌려 보낸 상태다.
하지만 병원측은 장기적인 임금체불과 맞물려 노조와의 합의는커녕 마찰만 커지고 있다.
박석용 공공의료노조 진주의료원지부장은 “진주의료원의 설립목적이 공공의료기관인 만큼 경남도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병원이 이 지경이 되도록 보고만 있다”고 말했다. 그는 “병원측이 내놓은 구조조정안은 정리해고 등 수용하기 어려운 내용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남도와 병원이 의료원 이전으로 인한 적자의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날 오후 체불임금 정산과 구조조정 반대를 요구하며 긴급 대책회의에 들어갔다. 노조 관계자는 “현재 조합원뿐만 아니라 의사들의 불만이 크다. 병원측이 원만한 해결방안을 내놓지 못할 경우 최악의 충돌마저 우려되는 상태”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병원측은 “임금이 체불된 것은 분명 잘못된 일이지만 현재 시급한 것은 병원의 정상화다”라며 “노조측에 건의한 것은 경남도에서 예산지원을 하기 위해 납득할 수 있을만한 수준의 병원개선안이다”고 해명했다.
이어 “도에서는 병원개선안에 대해 노사가 합의한다면 현재 의료원이 지고 있는 병원신축을 위해 빌린 108억원에 대해서는 지원해주겠다는 답을 받았다”면서 “서로가 조금씩 양보해 원만히 해결 될 수 있도록 대화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병원측은 경영적자를 이유로 지난 2008년부터 임금을 동결해 왔다. 한편 병원측이 요구한 구조조정안은 연차반납, 병동통합, 주6일제 실시, 명예퇴직과 복수직급제 도입 등이지만 노조는 대부분 어렵다는 입장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