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행부, 1953년 이승만 정부에서 작성되었던 기록 총 67권, 분석 결과 공개
3·1운동 피살자 명부와 관동대지진 당시 희생된 한국인 명부가 최초로 공개됐다.
여기에 새로운 내용의 ‘일정(日政) 시 피징용자’ 명부도 추가로 발견돼 일제강점기 피해보상 문제가 새로운 전기를 맞을 전망이다.
지난 19일,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은 1953년 이승만 정부에서 작성한 3·1운동 시 피살자 명부 1권(630명), 일본 진재(震災) 시 피살자 명부 1권(290명), 일정 시 피징용자 명부 65권 (22만 9781명) 등 67권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명부는 지난 6월, 주일 한국대사관이 이전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어 8월 국가기록원으로 옮겨진 것이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1952년 12월 15일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내무부에 전국적인 조사를 지시해 이번 명부가 작성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1952년 2월 제1차 한·일 회담이 결렬되고, 1953년 4월 제2차 한·일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성되어 주일대사관에 보내진 것으로 추정된다.
‘3·1운동 피살자 명부'엔 유관순 열사에 대한 기록이 실려있어 눈길을 끈다. 명부에는 유관순 열사에 대해 "3·1독립 운동만세로 인하여 왜병에 피검(被檢)돼 옥중에서 타살(打殺)당함"이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1운동 피살자 명부’는 217쪽의 습자지로 구성된 1권으로 지역별로 총 630명의 희생자가 실려 있다. 그동안 국내외에서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는 최초의 명부다.
‘일본 진재 시 피살자 명부’는 관동대지진 당시 희생된 한국인 명부로 1권 109장으로 구성되었고, 290명의 이름이 실려있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이번 명부는 전국적인 정부 조사 결과인 데다 주소나 생년월일까지 포함됐을 정도로 세세해 앞으로 피해보상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