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구 전통시장 상인회, 우수 시장 견학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10월 29일 대송시장 등 관내 5개 전통시장 상인 40명과 함께 경기도 성남시 소재 모란 민속 5일장을 견학했다.    모란 민속5일장은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도권 최대 규모의 시장으로, 매월 4일과 9일에 열리는 5일장 문화가 활발히 유지되고 있으며, 다양한 상품과 먹거리 등이 어우러져 전국적으로...
                                동구 전통시장 상인회, 우수 시장 견학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10월 29일 대송시장 등 관내 5개 전통시장 상인 40명과 함께 경기도 성남시 소재 모란 민속 5일장을 견학했다.    모란 민속5일장은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수도권 최대 규모의 시장으로, 매월 4일과 9일에 열리는 5일장 문화가 활발히 유지되고 있으며, 다양한 상품과 먹거리 등이 어우러져 전국적으로...
                            
                        충북도가 ‘100년 먹거리 창출’을 위한 충북 미래 프로젝트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충청북도(도지사 이시종)는 7월 21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충북경제 전국대비 4% 실현 및 100년 먹거리 발굴을 위한 제2차‘충북 미래 100년 준비 지원단’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충청북도 미래 100년 준비지원단장인 충북도 설문식 정무부지사를 주재로, 준비지원단원과 충북도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날 회의는 충북도의 발전을 위한 ‘충북 미래 100년 제안과제’ 검토를 위해 마련됐다. 
이번 제2차 준비지원단 회의에서는 상반기 충북 미래 100년 사업 아이템으로 준비지원단원과 실·국, 각 시·군, 워크숍 등에서 제안된 총 34건이 검토됐다. 
중요 검토대상사업은 중부권 첨단농업 콤플렉스 조성계획, 청주 취수시설 이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충북 혁신도시의 글로벌화를 위한 타깃 전략 등 15개 제안과제다. 
이번 준비지원단 회의에서는 과제 중 사업기획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과제에 대해서는 1건당 2천만원이하의 사업기획 연구용역을 실시하여 사업을 구체화하고, 사업기획 연구용역결과 우수 사업에 대하여는 정부 예타사업 연구용역을 거쳐 충북 미래 프로젝트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두표 미래전략기획단장은 “충북 미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대형 프로젝트 발굴이 절실하고, 이를 위해 충북도에서는 조례와 규정을 제정하여 미래과제를 제안하거나 기획하는 외부전문가와 준비지원단 단원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을 마련했다”면서 “프로젝트 발굴을 위해 준비지원단 단원이나 외부전문가가 워크숍, 세미나, TF 등을 구성·운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행·재정적 지원을 해나갈 계획으로 적극적인 활용이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충북 미래 100년 지원단은 지난 4월 7일 출범, 1차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도내 소재한 산·학·연·관·단체의 기획전문가 30명으로 구성됐으며 향후 5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지원단에서는 ▲충북 미래과제 발굴 ▲사업기획, 용역·자문 ▲과제의 기획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네트워킹 등을 수행한다. 
또한 충청북도는 미래과제 발굴에 행·재정적 지원마련을 위하여 지난 5월 15일 ‘충청북도 미래 100년 준비 지원단 설치·운영조례’ 및 ‘충청북도 미래 100년 준비 지원단 및 외부전문가 기획연구비 등 지급규정’를 제정한 바 있다.	
 남해 다랭이 논
                        
                        남해군 서남단 남면 홍현리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다랑이논은 농경시대 사람들의 전통적인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농업경관이다.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아래 바다를 향한 산비탈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곡선 형태의 계단식 논이 100여 층 형성되어 있다.다랑이란 매우 규모가 작은 논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특히 경..
                            남해 다랭이 논
                        
                        남해군 서남단 남면 홍현리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다랑이논은 농경시대 사람들의 전통적인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룬 농업경관이다.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아래 바다를 향한 산비탈 급경사지에 조성되어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곡선 형태의 계단식 논이 100여 층 형성되어 있다.다랑이란 매우 규모가 작은 논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특히 경..
                    
                 익산시 천만송이 국화 축제
                        
                        익산천만송이국화축제는 해마다 10월에 전라북도 익산시 어양동에 있는 중앙체육공원에서 개최되는 국화 축제이다. 불로장수와 강한 번식력을 자랑하는 국화는 전라북도 익산시의 시화로, 익산시의 무궁한 발전과 진취적인 기상을 상징한다. 익산천만송이국화축제는 익산시의 대표 축제 가운데 하나이다.
                            익산시 천만송이 국화 축제
                        
                        익산천만송이국화축제는 해마다 10월에 전라북도 익산시 어양동에 있는 중앙체육공원에서 개최되는 국화 축제이다. 불로장수와 강한 번식력을 자랑하는 국화는 전라북도 익산시의 시화로, 익산시의 무궁한 발전과 진취적인 기상을 상징한다. 익산천만송이국화축제는 익산시의 대표 축제 가운데 하나이다.
                    
                 울산 석화 공단의 아침
                        
                        [뉴스21일간=김태인 ]
                            울산 석화 공단의 아침
                        
                        [뉴스21일간=김태인 ]
                    
                 옥연지 송해 공원
                        
                        옥연지 송해공원은 달성군의 대표 관광지로 달성군 명예군민인 방송인 송해 선생님의 이름을 따 명칭한 공원이다. 계절마다 다양한 꽃을 볼 수 있는 이곳은 다양한 꽃과 식물뿐만 아니라, 둘레길 데크, 백년수중다리, 바람개비 쉼터, 전망대, 금동굴, 얼음빙벽 등 다양한 볼거리로 조성되어 있다. 특히 봄에 방문한다면 만개하는 벚꽃길로 유...
                            옥연지 송해 공원
                        
                        옥연지 송해공원은 달성군의 대표 관광지로 달성군 명예군민인 방송인 송해 선생님의 이름을 따 명칭한 공원이다. 계절마다 다양한 꽃을 볼 수 있는 이곳은 다양한 꽃과 식물뿐만 아니라, 둘레길 데크, 백년수중다리, 바람개비 쉼터, 전망대, 금동굴, 얼음빙벽 등 다양한 볼거리로 조성되어 있다. 특히 봄에 방문한다면 만개하는 벚꽃길로 유...
                    
                 삼척항 번개시장
                        
                        삼척번개시장은 강원도 삼척시 중앙로 10번지 일원에 있는 상설 시장으로, 매일 새벽 5시부터 연중 운영되고 있다. 사직동에 위치하여 사직번개시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시장은 번개시장상인회와 번개시장번영회 주체로 운영되고 있다. 주요 판매품은 삼척항에서 갓 잡아온 싱싱한 어물과 활어회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채소 등 지역 농산물.
                            삼척항 번개시장
                        
                        삼척번개시장은 강원도 삼척시 중앙로 10번지 일원에 있는 상설 시장으로, 매일 새벽 5시부터 연중 운영되고 있다. 사직동에 위치하여 사직번개시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시장은 번개시장상인회와 번개시장번영회 주체로 운영되고 있다. 주요 판매품은 삼척항에서 갓 잡아온 싱싱한 어물과 활어회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채소 등 지역 농산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