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시 고향사랑기부와 함께하는 행복한 연말 이벤트
속초시는 2025년 연말을 맞아 고향사랑기부제 참여 확대와 기부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한 4개의 특별 이벤트를 11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한다.이벤트 기간 기부자는 고향사랑e음을 통해 속초시에 10만 원 이상 기부한 후 온라인 네이버폼을 통해 응모할 수 있다.이벤트별로 네이버폼이 별도로 운영되며 시 누리집 ...
▲ 김문석 시인/수필가’(뉴스21 제주본부 사회2부 기자)
요즘 세상은 유난히 빠르고, 각박하다. 출근길 지하철 안에서도, 거리에서도, 사람들의 표정은 대체로 굳어 있다. 말 한마디 건네는 일조차 어색해진 시대, 그래서일까. 우리의 일상은 점점 더 차갑고 삭막해져 가고 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우리가 세상을 갑박하게 만드는 건 환경보다도 말일지도 모른다.
“힘들다”, “짜증난다”, “그냥 그럭저럭 살지 뭐.”무심코 내뱉는 부정적인 말들은 우리의 마음을 닫히게 하고, 삶의 방향까지 흐리게 만든다. 그렇게 자신을 향한 신뢰를 깎아내리고, 남을 향한 온기도 잃어버린다.
반대로, 따뜻한 한마디는 놀라울 만큼 큰 힘을 지닌다. “괜찮아, 잘하고 있어.” 이 짧은 문장은 위로가 되고, 다시 일어설 용기를 준다. 칭찬과 격려는 받는 사람뿐 아니라 하는 사람의 마음까지도 밝게 물들인다. 긍정적인 말은 누군가의 하루를 바꾸고, 나아가 사회를 건강하게 만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는 칭찬에 인색하고, 비판에는 너그럽다.
남의 잘못은 쉽게 지적하면서도, 수고를 알아주는 말에는 유난히 인색하다. “말이 씨가 된다”는 속담처럼, 우리의 말은 생각보다 훨씬 큰 파장을 남긴다. 한마디의 말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고, 공동체의 문화를 만든다.
크게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중 하나는 ‘말의 힘을 믿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부정적인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말하고, 불안 속에서도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내가 내뱉은 긍정의 말 한마디는, 마치 영양분 가득한 물을 내 마음의 나무에 뿌리는 일과 같다. 오늘 한 방울의 말이 내일의 나를 자라게 하고, 언젠가 그 나무는 커다란 그늘을 만들어 세상을 품을 것이다.
지친 하루 속에서도, 누군가에게 따뜻한 말을 건네보자.
“괜찮아요.” “오늘도 수고 많았어요.” 이 단순한 문장들이 갑박한 세상에 온기를 불어넣는다.
그리고 그 온기는, 다시 나에게 돌아온다.
오늘 하루, 세상을 조금 더 아름답게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은
‘좋은 말을 선택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