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암 환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1995년 이후 남자는 전립선암이, 여자는 갑상선암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국립암센터가 발표한 ‘2002년 한국중앙암등록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39개 수련병원에서의 신규 암 진단 건수는 9만9025건으로, 2001년 9만1944건에 비해 7.7% 증가했다.
이 가운데 위암이 가장 많은 1만9970건으로 전체의 20.2%를 차지했고, 그 다음은 ▲폐암 1만1741건(11.9%) ▲간암 1만1174건(11.3%) ▲대장암 1만1097건(11.2%) ▲유방암 7359건(7.4%) ▲갑상선암 4817건(4.9%) 등이다.
성별로는 남자 5만5398건, 여자 4만3627건으로, 남자의 암발생 등록이 1.3대 1로 더 많았다.
남자의 경우 위암(24%), 폐암(16%), 간암(15.4%), 대장암(11.6%), 방광암(3.2%), 전립선암(3%) 등의 순으로 전년과 같았다.
하지만 여자는 유방암(16.8%), 위암(15.3%), 대장암(10.7%), 갑상선암(9.5%), 자궁경부암(9.1%) 등의 순으로 전년에 5위였던 갑상선암이 자궁경부암을 제치고 4위로 올라섰다.
특히 지난해와 95년을 비교한 결과 남자에게서 가장 많이 증가한 암은 ▲전립선암(211%) ▲대장암(184%) ▲폐암(124%) 등이었고, 여자의 경우 ▲갑상선암(246%) ▲유방암(199%) ▲대장암(164%) 등의 순으로 늘었다.
남녀 각각 전립선암과 갑상선암이 이같이 늘어난 것은 노인 인구의 증가, 육류소비 증가 등 식생활 패턴의 서구화, 조기 진단기술의 발달 등으로 분석됐다.
95년 이후 남녀 공통적으로 많이 증가한 대장암은 내년부터 국가 암 조기 검진사업에 새로 포함돼 위암, 유방암 등과 함께 5대암 검진체계가 구축된다.
연령대별로는 0∼14세의 경우 남녀 모두 백혈병을 포함한 조혈계암이, 15∼34세는 남자 위암, 여자 갑상선암, 35∼64세는 남자 위암, 여자 유방암, 65세 이상은 남녀 모두 위암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중앙암등록사업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인 암의 발생등록 빈도를 조사, 분석해 암 연구 및 국가 암 관리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980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