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공동으로 조사한 '9월 주요 서민생활물가'에 따르면 지방공공요금 7개 품목이 평균 6.3%, 농축수산물 10개 품목이 5.6%, 외식비 8개 품목이 2.0%, 개인서비스 요금 5개 품목이 4.1% 오르는 등 서민생활 관련 30개 품목의 가격은 1년간 평균 4.6% 올랐다.
품목별로 목욕료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평균 5천101원으로 1년 전 4천861원에 비해 240원(4.9%) 오르며 5천원을 넘어섰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목욕료가 5천727원으로 가장 비쌌고 경기(5천668원)가 뒤를 이었다.
미용료(여성 커트)는 1만1천429원으로 1년 만에 561원(5.2%) 올랐고, 이용료(남성 커트)는 1만588원으로 같은 기간 291원(2.8%) 상승했다. 세탁료(신사복 상하 드라이크리닝·다림질 포함)는 6천315원으로 142원(2.3%), 여관 숙박료는 3만5천91원으로 1천770원(5.3%) 각각 뛰었다.
외식비에서는 비빔밥이 1년 새 5천967원으로 204원(3.5%)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삼계탕은 1만1천500원으로 328원(2.9%), 냉면은 6천639원으로 181원(2.8%), 김치찌개 백반은 5천493원으로 132원(2.5%), 칼국수는 5천595원으로 129원(2.4%) 각각 상승했다.
5천원 이하로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서민 외식품목은 2천811원 하는 김밥 1줄이나 4천101원인 자장면 한 그릇뿐이다.
올해 들어 태풍이 연이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농축수산물 가격도 급등했다. 배추값(1kg)은 1천32원(작년 10월 기준)에서 1천771원으로 739원(71.6%)이나 올랐고 무값(1kg)은 1천90원으로 175원(19.1%) 상승했다.
반면 돼지고기(삼겹살 500g)는 9천581원으로 1천586원(14.2%) 내렸다. 달걀(10개)은 1천954원으로 208원(9.6%), 콩(1kg)은 1만428원으로 890원(7.8%)씩 하락했다.
공공요금은 작년 하반기와 올해 초 서울시와 경기도의 요금 인상으로 크게 올랐다. 도시가스료는 1만192원으로 967원(10.5%) 뛰었고, 시내버스요금은 성인 카드기준 1천76원으로 76원(7.6%), 전철요금은 1천75원으로 101원(10.4%) 각각 상승했다. 하수도료(가정용)도 3천980원으로 396원(11.0%) 뛰었다.
급등세를 보인 국제곡물가격이 미국의 수확기가 앞당겨져 9월 상순 이후 소폭 하락했으나 불확실성이 남아있고, 국제유가는 중동지역의 정세 불안 등으로 가격변동성이 지속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정부는 농산물 수급안정, 국제곡물가 급등, 유가상승 영향을 최소화하고 구조개선과제를 추진해 물가안정기조를 정착해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