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주)(이하 KAI)의 지분매각 때에 인수가격보다 재무구조, 투자여력, 고용승계 등 비가격요소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 새누리당 김재경(진주을) 의원은 16일 한국정책금융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통상적으로 입찰을 통한 지분매각을 할 때 가격 대 비가격 비중을 6:4 또는 7:3을 적용하지만 KAI는 방산업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 비가격요소의 비중을 더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김 의원은 "KAI는 지역에 소재한 방위산업체로서의 특수성을 감안해 가격보다는 자금조달 능력, 고용 승계, 재무구조 등 투자여력의 비가격요소에 비중을 높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야 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는 "KAI 인수후보인 대한항공과 현대중공업의 20102년 6월말 기준으로 재무구조를 비교해 보면 자본은 1조9000억원 대 15조2000억원, 부채비율도 990% 대 104%로 비교조차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차입금의존도도 68.4% 대 17.8%로 투자여력이라든지 재무구조를 보면 어디가 우월한지 알 수 있다"며 "가격에 비중을 두면 이와 상관없는 결과가 도출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진영욱 한국정책공사 사장은 "가격 대 비가격의 비중에 대해서는 주주협의회에서 논의되지 않아 결정된 바는 없다"며 "과거 M&A를 했던 하이닉스와 현대건설의 사례가 원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진 사장은 "지분매각 이후에도 공사에서는 15%의 지분을 가지고 2대주주로서의 책임을 다해 KAI의 장래에 대해 같이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9월27일 KAI 지분 매각 재입찰에서 현대중공업이 뛰어들면서 유효입찰이 성립됐고, 지난 5일 입찰에 참여한 대한항공과 현대중공업을 본입찰적격자로 선정해 현재 예비실사를 준비 중에 있다.
한국정책금융공사는 KAI 지분매각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기준에 대해 KAI의 중장기적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경영주체 여부와 자금조달 능력을 종합적으로고려해 가격요소와 비가격요소를 균형 있게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현대건설 및 하이닉스 매각 때 가격 대 비가격 비율을 65:35로 매각기준을 설정해 낙찰자를 결정했는데 현대건설 매각 시 인수가를 높게 입찰한 현대그룹에 낙찰되었으나 이후 자금조달계획 상의 문제로 낙찰자가 현대차그룹으로 변경된 적이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