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대 총선을 30여일 앞두고 대학생들이 투표율 제고를 위한 대학내 부재자투표소 설치 및 부패정치인 낙천.낙선 운동을 전개하는 `유권자운동′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10일 전국 대학가에 따르면 대학 총학생회 등 학생 자치기구들은 대학생들의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내에 부재자투표소가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고 결론짓고 대학연합체.시민단체 등과 연계, 홍보 캠페인 등 관련 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서울대와 연세대, 대구대 등 3개 대학에만 설치됐던 대학내 부재자투표소가 이번 총선에서는 수십 곳에 설치될 가능성이 커지는 등 대학생 유권자들의 `표심′이 관심을 끌 전망이다.
선거법은 해당 읍.면.동에 거소를 둔 부재자 선거인수가 2천명을 넘는다고 예상될 때 부재자투표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학 운동권과 비운동권이 망라된 학생 자치기구들은 지난달 `2004 총선 전국대학생연대′를 발족하고 "낡은 정치, 절망만 안겨주는 정치를 청산하고 정치혁신을 이루기 위해 역량을 결집해 행동에 나설 것"을 결의하면서 ▲젊은 정치 실현 ▲대학생정책 제시 ▲대학생 투표율 혁명 등을 3대 정책과제로 내놓았다.
이 단체에는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과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 비운동권인 학생연대21, 대학생유권자단체인 유니보터스, 정치개혁대학생연대 등 연합기구 외에도 연세대 등 50여개 대학 총학생회가 동참하고 있다.
경북대.영남대 등을 중심으로 한 `대구.경북 대학 부재자투표 운동본부′는 지난 4일 발족식을 갖고 `캠퍼스에서 국회의원을 뽑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본격 활동에 돌입했다.
이 단체는 오는 24일까지 각 대학별로 재학생 2천명 이상의 부재자 신고 운동을 펼쳐 우선 경북대.대구가톨릭대.영남대.대구대 등 4개교의 부재자투표소 설치에 주력한 뒤 계명대.금오공대 등 다른 학교에도 이 운동을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부산대.부경대.동아대 등 부산지역 20여개 대학 총학생회도 전국 총선연대와 연계해 조만간 `부산지역 대학생 유권자 운동본부′를 결성, 대학내 부재자투표소 설치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부산지역 대학생들은 특히 이라크 파병안에 찬성한 현역의원들에 대한 정보공개 운동을 펼치고 비리.부패 정치인에 대한 낙천.낙선 운동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충북대.교원대.청주교대.극동대 등 충북 5개 대학 총학생회 등도 8일 `2004 총선 충북지역 대학생 유권자 운동본부′를 발족하고 ▲부패 정치인 퇴출 운동 ▲청년실업 해결 등 대학생 관련 정책 제시 ▲대학생 투표율 높이기 운동 등을 펼쳐 나가기로 했다.
특히 충북지역 대학생 자치기구들은 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운동 외에도 정치개혁 실천 자전거대행진, 출마자 및 정당 관계자 초청 간담회 등을 통해 대학생들의 정치 참여를 적극 나설 계획이다.
전북대.원광대.군산대 등 전북지역 대학 총학생회도 이번 총선에서 학교내 투표가 이뤄지도록 하고 부재자투표소 설치 운동에 나섰으며, 출마자 초청 토론회와 공청회도 열기로 했다.
그러나 군산대 총학생회측은 "최근 각 정당이 지지를 호소하며 학생회를 방문하고 있으나 정치에 관여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공개적으로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등의 정치적 행위는 자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전국 대부분의 대학 학생 자치기구들도 전국 유권자운동본부나 총선연대 등과 연계, 학내 부재자투표소 설치운동을 벌이기로 하고 단과대별.대학별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한편 인하대.인천대.인천전문대.경인교대.가톨릭대학생연합회 등 인천지역 대학 총학생회는 지난 1월말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연합해 ′부패.반개혁 정치인 퇴출 2004 인천총선시민연대′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이들 대학 총학생회는 각 정당이 공천과정에서 인천지역 정치인들중 부패, 반개혁적인 정치인들에 대해 공천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한편 일반시민들의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낙선노래방′과 ′낙선주점′ 운영, ′낙선의 거리′ 선정, 거리 퍼포먼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낙천. 낙선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