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60주년을 맞아 사회적 부작용을 안고서도 대대적인 대통령특별사면으로 인해 많은 시민들에게 혜택을 주었으나, 그 이면에는 늘상 의례적인 행사인 듯, 또 다시 무분별하고, 고압적인 자세로 함정수사 및 행정편의주의 잣대로 충실한 원칙에 의거 각종 위반자에게 범칙금 스티커 발부로 인해, 시민들에게 항의 및 눈총을 받아도 아랑곳없이 당당하게 스티커 발부를 하는 한 경찰관의 모습이 역겨웠다. 지난 11일 일요일인데도 불구, 국가와 시민들의 안녕을 위해 召命(소명)을 다하다 못해 너무 지나침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중랑구 7호선 면목역 사거리에서 보행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어 마땅히 ‘횡단보도’를 건너야 함에도 일부 시민들이 초록불이 바뀌기 전 다급한 마음에 ‘무단횡단’을 하게 되어 도로교통법상 위반, 적발되어, 학생인 김 양(18.망우3동)은 학원시간에 쫒겨 “죄송합니다”라고 울면서 사정을 해도 면목지구대 송 경사는 그저 위반되었다는 이유로 고압적인 자세로 ‘신분증’을 요구하나, 김 양은 “학생이고, 학원 시간에 쫒겨 아무것도 가지고 오지 않았습니다”라며 울며 사정을 해도 소용이 없었다. 그러나 경찰관 근무수칙에 의거, 모든 시민들에게 위반, 적발시에는 미란다 원칙은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경찰관의 소속과 관등성명 그리고 위반사항에 대한 설명을 해 주어야 함에도 불구, 그저 스티커 발부 및 불타는 소명심에 의거 국가에 세금을 거둬 들이는데 일조라도 하는 양 목숨을 거는 듯한 모습이 한편으로는 가련하다는 생각이 씁쓰레했다. 또한 송 경사의 지나치리만치 ‘범칙금’스티커 발부하는데만 혈안이 된 듯 해 시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느꼈는지 ‘스티커 발부와 동시에 오토바이 시동을 걸고 줄행랑을 치다시피 하는 것을, 김 양은 그 때까지도 울면서 “엄마가 오니, 얘기를 해 주고 가세요”라고 진땀을 흘리고 매달리는데도 불구, 송 경사는 “엄마가 오면 면목지구대로 찾아 와”하고는 갈려고 하자 한 시민이 “학생은 ‘지구대’의 위치도 모르는데 연락처와 위치를 알려 주어야 할 것이 아니냐?”는 항의에 어쩔 수 없이 김 양에게 발부된 ‘스티커’ 뒷면에 짧은 메모만을 남겨 주면서 “스티커 발부에 대한 이의가 있으면 지구대로 찾아 오라”고 한마디만 남겨 놓고 쏜살같이 대로변을 놔두고 골목으로 사라져 버렸다. 결국 김 양은 송 경사로 하여금 자신의 잘못을 잊고, 송 경사의 태도와 위압적 행위에 놀라 그 때까지도 길 한 가운데서 진땀을 뻘뻘 흘리면서 우는 가운데 너무 놀라 학원에 가서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조차 잊어버린 체 망연자실 서 있는 모습이 너무 애처로워 보였다. 송 경사의 근무자세 및 국가의 소명심은 본 받을 일이나, 지나침이 넘어 여러 사람으로부터 불쾌감을 안겨준 것이 안한 것만 못한 것이 되어 버렸다.옛말에 ‘넘침은 안 한 것만도 못하다’고 했듯이 지나친 사명감이 어린 학생을 놀라게 하고, 한창 민감한 어린 여학생에게 정신적 충격만 안겨줌과 동시에 그 날은 결국에는 학원에서 공부하는 것도 포기하게 하는 안타까움을 안겨주었다. 사회는 法(법)이 있고, 원칙이 있듯이, 원칙아래 상황에 따라 정상참작 및 융통성이라는 것이 있는데 보다 유연하게 김 양에게 ‘주의’라는 관대함을 보여 주었다면 ‘민중의 지팡이’로서의 보다 많은 갈채를 받을 수 있었던 것도 ‘아직도 고압적이고, 전근대적인 자세를 버리지 못했다’라고 하는 손가락질을 받고 있지 않나 싶은 아쉬움이 자리한다. 그러나 원칙에 준해 단속을 하는 송 경사는 과연 모든 일에 있어서 원칙에 입각해 한 줌의 부끄러움이 없이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궁금하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