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주민과 3차 대화…수확 과정 불필요한 마찰도 빚지 않기로
평택 미군기지 이전 반대 주민들과 정부 간 대화가 조금씩 진전을 보이고 있다. 정부에 대한 반감과 불신이 다소 누그러지고 있다는 게 대화에 참여한 정부 관계자의 말이다. 정부는 20일 평택에서 주민들과 제3차 대화를 갖고 지난해 10월께 기지 이전 부지 내에 파종한 보리와 마늘에 대한 수확을 허용키로 했다. 원칙적으로 토지 수용이 결정된 상태에서 협의없이 이뤄진 영농행위는 인정할 수 없지만, 주민들의 아픔을 보듬고 원활한 대화를 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허용한 것이다. 대상은 보리 34필지 3만 9,000평과 마늘 14필지 2,200평이며, 비가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주부터 수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수확 작업을 돕기 위해 군을 이용한 영농 지원도 실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올해 불법으로 볍씨를 뿌린 논에 대한 영농활동은 계속 허용치 않는다. 또한 주민들은 보리와 마늘 수확 과정에서 시위나 현수막 게시, 사진 촬영 등으로 군과 불필요한 마찰을 빚지 않기로 약속했다. 수확은 주민 입회 하에 진행하되 작업자는 예정지 주민으로 한정하며, 2004년 6월 이후 전입자는 제외키로 했다. 국무조정실 주한미군대책기획단 관계자는 “주민들의 아픔을 충분히 달래주기 위한 일환으로 수확을 허용키로 했다”며 “일부 주민들은 수확을 허용해 줘 고맙다는 의견을 전해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민들이 대화에 나서 의견을 주고 받는다는 것 자체가 큰 진전”이라며 “보상 얘기는 협상의 막바지에 가서야 나오게 될 것이며, 지금은 서로 간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