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도시 한계 고교땐 점수 저조...10년 공부 끝 이민법 전문가
“영어실력은 환경이 아니라 도전정신이 키우는 것이지요.”학창시절 영어시간이 악몽일 만큼 싫었던 한 여성이 영어권 원어민조차 벅찬 미국 변호사 시험에 합격해 화제다. 주인공은 버젓한 영어회화 학원은 눈 씻고 찾아도 보기 힘든 인구 10만명의 소도시 상주 출신 김주현씨. 현재 서울 강남의 모 법무법인에서 미국 이민법 변호사로 일하고 있는 그녀는 1995년 고 3시절만 해도 수능 예비시험에서 외국어 영역(영어) 때문에 따놓은 점수를 까먹기 일쑤인 ‘영어꽝’이었다.그러던 그녀는 대학(건국대 히브리어과) 재학 시절 캐나다 어학 연수를 다녀온 뒤 달라지기 시작했다. 1년간의 연수 덕분에 그녀는 토익 850점에 일상 회화를 하는 실력을 갖췄지만 그보다 큰 결실은 ‘영어가 싫진 않다’는 생각의 전환을 하게 된 것. ◆무작정 도전…원서보고 아찔영어에 자신감이 붙은 그녀는‘국제 전문직’을 갖겠다며 무작정 법률대학원(한동대)에 입학했지만 영어는 다시 그녀를 시험에 들게 했다. 법전 원서를 들고 영어로 강의하는 수업을 처음 듣던 날 그녀의 뇌리를 스친 생각은 ‘1학년이라도 마칠 수 있을까’였단다. “1주에 100페이지가 넘는 교과서를 읽으며 판례의 맥락과 해당 법리를 분석해 영어로 발표하는 것은 엄청난 부담이었지요.”김씨의 전략은 짧은 시간이라도 최대한 몰입해 ‘영어에 빠지기’. 고3으로 돌아간 것처럼 주말과 방학에도 영어 교과서를 파고들었고 이해가 안 되는 어구는 꼭 교포 학생들에게 묻고 토론하기를 1년, 영어의 벽이 조금씩 허물어지기 시작했단다. “어린 시절 영어 사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유학을 안 다녀와도 본인의 노력에 따라 길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라고 영어 정복의 감회를 밝힌 그녀는 “좀 더 경력을 쌓은 뒤 미국으로 가 난민 보호 등의 일도 해보고싶다”고 미국 생활 도전기의 포부를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