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 언어 상당수 불평등...성 지칭·강조어 등 바꿔야
주방 아줌마, 처녀작, 미망인, 스포츠맨, 윤락녀, 된장녀….미디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의 상당수가 성차별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이를 성평등한 언어로 바꿔야 한다는 권고가 제기됐다.9일 한국여성개발원 주최로 열린 ‘성평등한 미디어 언어 개발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이수연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은 7월 10∼30일 일간신문 3개, 지상파 TV 4개, 인터넷 포털 3개를 대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총 7570개의 성차별적 언어가 적발됐고, 인터넷, 신문, 방송 순이었다고 밝혔다.그는 성차별적 언어 유형을 ▲성을 지칭하는 단어로 남녀 모두를 포괄(스포츠맨, 금융맨) ▲성별의 불필요한 강조(여성 총리, 여류 작가) ▲고정관념적 속성 강조(철의 여인) ▲성차별적 이데올로기 내포(미망인, 처녀작) ▲선정적 표현(쭉쭉빵빵, S라인) ▲특정성 비하(아줌마, 부엌데기) 등 7가지로 분류했다.이 연구위원은 스포츠맨과 스포츠맨십은 운동선수, 운동정신으로, 처녀작은 첫 작품, 미망인은 고 아무개의 부인, 아줌마는 여성, 윤락녀는 성매매 여성 등으로 바꿔서 사용하라고 제안했다.한편 남성을 차별하는 미디어 언어의 예로는 돌쇠, 든든한 아들, 양아치 등이 제시됐다.<바꿔야 할 미디어 언어>△스포츠맨→운동선수 △처녀작→첫 작품 △윤락녀→성매매 여성 △아줌마→여성 △미망인→고 아무개의 부인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