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터미널과 지하철역 구내 공중 여자화장실 변기에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들이 득실거려 관리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서울대 원핵미생물학 및 생명정보학 연구실은 4일 발표한 ‘공중화장실 좌대에 상존하는 병원균에 대한 연구조사 보고서’를 통해 서울 시내 공중 여자화장실 5곳의 서양식 변기에서 대장균군 세균 17종 등 31종의 세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천종식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10월 30일 강남고속터미널 호남·경부선, 동서울터미널, 용산역, 서울역의 여자화장실에서 서양식 변기를 한 개씩 골라 좌대와 덮개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묻어나온 세균을 배양해 유전자 분석을 실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5개 여자화장실의 서양식 변기에서 평균 71만 마리(10㎠당 3800마리)의 세균이 검출됐다.이는 지난해 한국소비자보호원의 세균오염도 조사 당시 나왔던 지하철 손잡이(10㎠당 86마리)의 44배, 화장실 손잡이(10㎠당 340마리)의 11배에 해당하는 수치다.검출된 세균 31종 중 8종류는 면역력이 낮은 환자나 노약자 등의 경우 병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감염균’이었다.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아시네토박터와 포도상구균이 각각 3곳과 5곳에서 검출됐으며 오염된 대변에서 발견되는 대장균이 검출된 곳도 있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