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 중간역 신설계획에서 예상과 달리 평택역이 제외되자 시(市)와 시의회, 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시(市)는 지난 17일 "국책항인 평택항은 서해안시대의 물류거점도시로 경기남부권의 중심도시인데 고속철 역사가 들어서지 않는다면 폭증하는 교통수요 해결이 어렵다"며 "경기도와 협의, 추가 유치에 전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건설교통부에 수차례 건의해 제반사정을 설명했는 데 중간역에서 제외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평택을 포함, 경기남부권 400만 도민의 교통불편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시의회 이익재(59)의장은 "중간역이 계획된 충북 오성과 경북 김천.구미의 경우 평택에 비해 교통수요량이 훨씬 적다"며 "평택역 제외는 분명한 수도권 역차별"이라고 주장했다.
평택시민단체협의회 현상돈(54)회장은 "평택역이 추가로 유치되지 않을 경우 미군기지이전 등 모든 정부정책에 반대하는 시민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평택시의회는 지난 18일 긴급회의를 갖고 의회차원의 대응방안을 마련키로 했으며, 시민단체협의회도 조만간 대규모 항의집회를 열기로 했다.
건교부는 지난 14일 충북 오송과 경북 김천.구미, 울산 등 3곳에 경부고속철 중간역을 추가로 건설키로 했으나 평택의 경우 용산 미군기지 이전과 국제평화도시개발계획이 확정된 후 설치문제를 재검토한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