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르는 해킹 사태를 규명하기 위한 국회 청문회, 질의는 무단 결제 사태 원인으로 꼽히는 초소형 기지국 관리 부실에 집중됐다.
특히 KT가 다른 통신사와 달리 초소형 기지국을 10년이나 쓰도록 설정해 놓은 게 새롭게 드러났다.
KT 서버 폐기 과정에 대한 비판도 쏟아졌다.
지난 7월 정부가 해킹 가능성을 지적했지만, 이를 부인하던 KT는 서버 폐기 과정을 허위로 보고했기 때문다.
경영진 사퇴 촉구가 빗발쳤지만, 사퇴 입장은 나오지 않았다.
당국은 서버 해킹과 소액결제 사건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 중이라며, 유출된 정보로 복제폰을 제작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KT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2만여 명에 대한 위약금 면제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