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위에 떠 있는 무궁화 모양의 구조물, 최근 준공한 임하댐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
하루에 약 2만 6천 가구가 쓸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하는 데, 국내 댐에 설치된 수상 태양광 중 최대 규모다.
2021년 사업에 착수했지만 난관이 많았다.
환경 오염 등을 우려한 지역 주민 반대를 지자체가 나서서 설득했고, 결국 투자까지 끌어냈다.
발전 수익 일부가 앞으로 20년 간 주민에게 돌아간다.
수자원공사는 앞으로 5년간 원전 4기 분량의 수상 태양광 시설을 더 지을 계획.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임하댐과 비슷한 시기 추진한 용담댐 수상 태양광의 경우 주민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아 사업이 무산될 처지에 놓여있다.
전력망도 문제다.
임하댐은 기존 수력 발전용 송전망을 나눠 쓰기로 했지만, 다른 곳들은 송전망을 새로 깔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송·배전망 확충이 더디다 보니, 지금도 시설은 지었지만 발전은 못하는 재생에너지가 원전 6기 분량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