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제구조의 약점 중의 하나는 지식기반서비스 발전수준이 서울은 물론 지방대도시에 비해서도 낮으며, 서울의존성이 높다는 것이다.
물론 서울에서 지식기반서비스를 제공받더라도 사용자(기업)의 필요를 충족시킨다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지식기반서비스업의 미발전이 제조업의 혁신성 제고 등 구조 고도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개발연구원 경제사회연구부 문미성 박사는 지난 8일 서비스와 제조업의 상호의존성이 심화되는 세계경제추세에 부합하고, 제조업의 구조 고도화를 위해서는 지식기반서비스업의 육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의 지식기반서비스업 발전은 그 자체가 경기도 경제구조 고도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혁신능력 향상과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할 것이며, 또한 기업본사, 비즈니스서비스업 등의 고차서비스기능을 유치함으로써 수도권 공간구조의 다핵화와 경기도 도시지역의 자족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성장을 주도해 갈 지식기반서비스업의 공간분포 패턴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먼저 경기도의 지식기반서비스업의 업종별 공간분포는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지, 또한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업종별 공간적 집중 및 변화양상을 분석했다.
또한 이러한 공간분포패턴에 영향을 미친 입지요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와 지역발전수단으로써 지식기반서비스업의 가능성과 지식기반서비스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합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경기도의 지식기반서비스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공간적 집적화를 통한 지식기반서비스업 육성이 필요하다. 소극적인 수요추정에 의한 단지 조성보다는 수요창출적 집적지 조성정책을 마련해야 하고, 수도권 등 광역적 시장연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경향과 관련하여 일정 지역에 오피스가 집적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하여 종합적인 지식기반서비스 입지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서비스 특화단지, 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 지정 개발 및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로,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지식기반서비스업 육성이 필요하다. RIS(Regional Innovation System) 구축에 있어서 공공의 기업지원시책의 핵심은 비즈니스컨설팅, 연구개발, 과학기술서비스, 네트워킹 등 지식기반 서비스업으로, 연구개발 및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의 지식기반서비스업을 지식혁신체제 구축(RIS) 거점지역 중심으로 집중 육성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식기반서비스업 지원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지식기반서비스업 육성정책의 기획.실행 및 경기도 지식기반서비스업 발전을 총괄하는 전담 부서 설립이 필요하고, 제조업 편중에서 탈피하여 서비스업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