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지사, 방역현장 관계자 1천여명에게 구제역예방 총력 당부 친서 보내
전남도는 도내 구제역 특별방역을 위한 비상체제에 들어갔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최근 중국, 베트남 등 동남아에서 구제역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황사와 습도 등 계절적 요인과 구제역 병원체의 특성상 봄철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박준영 도지사는 구제역 유입방지를 위해서는 철저한 소독 등 방역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에 따라 최근 공동방제단 등 방역현장 관계자 1000여명에게 친서를 보내 오는 5월말까지 구제역 예방에 총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구제역은 국제교역상 가장 중요한 질병으로 분류해 세계 각국에서 특별관리를 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 지난 2001년 2033건이 발생해 직접 피해액 36억불과 간접 피해액 56억불 등 모두 92억불의 손실을 입었다. 국내에서도 지금까지 구제역이 2000년과 2002년에 모두 31건이 발생해 모두 4500억원의 피해를 입기도 했다. 특히, 지난 2002년 6월 이후 수년 동안 청정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어 농가 등에서 방역에 대한 긴장감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구제역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최근 도청 상황실에서 부시장?부군수 회의를 개최해 구제역 방역에 적극 대처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6일 축산기술연구소 회의실에서 시군 및 농협, 축산관련 단체 관계관을 긴급 소집, 시군별 방역 체계를 점검하고 기관별 역할분담 등 협조사항과 유사시 대응체계 준비사항 등을 시달했다. 도는 이와 함께, 7일에는 일제 소독의 날로 운영해 공동방제단 763개단(3009명)과 시군 및 축산기술연구소등에 보유하고 있는 소독방제차량 54대를 총 동원키로 했다. 이를 통해, 도내 돼지 500두 미만과 10두미만의 소와 염소 등 소규모 축산농가 4만 1천호 대해 소독지원에 나서고 대규모 농가 1만 1천호에 대해서는 자체 소독을 실시토록 할 계획이다. 도는 특히, 축산기술연구소 관계관(22명)과 함께 시군별 소독실시 상황을 일제 점검해 소독을 실시하지 않는 농가와 도축장, 가축시장, 사료제조업체 등에 대해 300만원에서 500만원미만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엄격하게 법을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그런데, 도는 황사발생 기상예보가 있을 때는 가축이나 사료 등이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황사가 끝난 즉시, 축사주변을 물로 씻어내고 소독을 실시토록 당부했다. 김종기 전남도 축정과장은 “중국, 베트남 등 구제역발생국의 여행을 자제하고 부득이 방문할 경우, 귀국 후 최소한 14일 안에는 축산농장 방문을 삼가 해 줄 것과 함께 의심축 발견시 즉시, 시군 및 축산기술연구소에 신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