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여권이 세종시 대안 발표시점을 연내에서 내년 1월 초로 늦추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정부의 세종시 수정 추진 전략이 바뀌고 있다.
여권은 갈등이 장기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세종시 수정안을 이달 중에 내놓을 방침이었으나 속도 조절로 수정안 제시 시점을 내년 1월로 연기하는 방안을 다시 검토하고 있다.
특히 야당의 원안추진 공세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여권 내부에서도 “끝내 설득이 안되면 원안대로 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됐던 터라 당·정·청 수뇌부는 ‘수정방침 불변’ 입장 홍보에 각별히 신경쓰는 모습을 보였다.
한나라당은 연말에 4대강, 미디어법, 노동법, 과 내년 예산안 처리 등 일정이 산제해 연말 국회 상황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내년 1월 초에 대안을 내고 그때 당이 전력으로 협의하며 검토해야 하다는 입장이다.
당·정·청이 모두 나서 충청권 주민을 비롯한 전체 국민과 정치권을 상대로 여론 조성 작업에 박차를 가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다.
정부 세종시기획단장인 조원동 국무총리실 사무차장도 “행정비효율을 초래하는 지금의 세종시 원안을 수정해야 한다는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다만 발전방안(대안)이 제대로 되려면 결국 정부와 여당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하는 만큼 여당이 요청한 대로 발표 시기는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퇴로찾기, 출구전략 그런 것이 절대 아니다. 세종시 수정에 대한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면서 “다만 여당에서 발표시기 조정을 얘기하니까 그런 걸 좀 검토는 해 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연내 발표를 고집해 무리하게 밀어붙일 경우 자칫 민관합동위의 민간위원들이 '정부의 짜여진 각본에 들러리만 서는 것 아니냐'며 불쾌해 할 수도 있는 만큼 속도를 약간 조절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이는 일방적으로 밀어붙이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전해 충청권과 반대하는 인사들에게 신중한 검토와 협조를 당부하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대안 발표시점 연기 검토가 국회 상황과는 별개로 민관합동위의 입장을 일부 고려한 측면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