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이자 상환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금융회사의 가계대출이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해 600조원에 육박했다.
여기에 카드 사용액 등 판매신용과 기타 금융기관 대출금을 합한 가계부채도 대출금의 증가에 따라 조만간 800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590조 2천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 6천억 원 증가했다.
이는 부동산 투기가 극심했던 지난 2006년 12월의 7조원 증가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넘쳐나는 시중 유동성 속에 은행들이 영업확대전략을 편 데다 경기 회복에 따라 주택 거래량이 증가하는 등 종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했다.
우선 은행권 가계대출이 425조 3천억 원에서 429조 4천억 원으로 4조 1천억 원 증가했고, 비은행권 가계대출은 158조 3천억 원에서 160조 8천억 원으로 2조 5천억 원 늘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350조 1천억 원에서 353조 8천억 원으로 3조 7천억 원 증가했다. 은행권이 2조 9천억 원, 비은행권이 8천억 원의 증가 폭을 보였다.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인 2009년 7월의 3조 4천억 원 이후 가장 컸다.
한편, 예금 취급기관의 가계대출금에다 카드 사용액 등 판매신용과 주택금융공사 등 기타 금융기관 대출금을 합한 가계부채는 9월말 770조 원였으나, 이후 대출금이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멀지 않아 800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