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적이 전면전을 일으킨다면 한.미 연합 공군은 대규모 편대군을 운용하여 수도권을 위협하는 적 방사포를 궤멸하는 것은 물론 적 지휘부와 방공망 등 핵심 군사시설을 무력화하여 조기에 전쟁을 승기로 이끌 것이다!”
공군은 23일(월)부터 오는 27일(금)까지 공군 작전사령부 주관으로 한반도 서부 공역에서 한.미 공군 연합 편대군 운용을 중심으로 하는 대규모 종합전투 훈련인「11-1차 Max Thunder」훈련을 실시한다.
「Max Thunder 훈련」은 한.미 공군이 연 2회 실시하는 정기 연합훈련으로 지난 2008년부터 美 공군의 RED FLAG 훈련을 벤치마킹하여 시작하였는데, 이번 훈련은 올해 실시하는 한.미 연합 공군 훈련 중 최대 규모이며 한국 공군 주도로 실시하고 있다.
적의 전면전 도발에 대규모 공격편대군을 구성하여 공중전을 펼친 후 지상의 핵심 목표에 전술폭격을 하는 시나리오로 구성된 이번 훈련은 한측에서 F-15K, KF-16, F-4E, F-5E/F 전투기와 C-130/CN-235, HH-60P 등 총 38대가, 미측에서 F-16, A-10, AWACS 등 21대가 참가한다.
훈련 돌입에 앞서 한?미 조종사들은 지난 20일(금) 제 1전투비행단으로 전개하여 진용을 갖추었으며, 21일(토) 전술토의, 22일(일) 주·야간조의 임무 계획 수립을 마쳤다. 이어 23(월)부터는 24시간 주.야간으로 쉴 틈 없이 훈련이 진행되는데 작전이 시작되면 대규모 전력이 꼬리를 물고 이륙하여 최대 50대의 전투기 및 지원기가 동시에 공역에 체공하는 장관을 연출하게 된다.
맥스 선더 훈련은 아군(Blue Air)과 적군(Red Air)으로 나누어 실전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번 훈련에서는 최초로 한국 공군의 ‘탑건 스쿨’로 불리는 제 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의 교관 조종사들이 적군 역할을 전담하여 훈련 참가 조종사들의 전투 기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훈련 중 사전에 실제 무장의 특성을 입력하여 실무장을 발사하지 않고도 적에 대한 공격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모의 무장 평가 시스템(NDBS : Non Drop Bomb Scoring)』과 실시간 3차원 공중기동 상황 시현이 가능한『공중 전투기동 훈련체계(ACMI : Air Combat Maneuvering Instrument)』를 활용하여 훈련 참가 조종사들이 비행 전.후 자신의 훈련 과정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번 훈련에는 전시에 출격했다가 지상과 해상에서 조난됐거나 적진에 고립된 조종사를 안전하게 구출하기 위한「조종사 탐색 및 구출작전」을 최초로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시켜 실전적 훈련의 완성도를 더욱 높였다.
한편, 박종헌 공군 참모총장은 본격적인 비행훈련이 시작되는 23일(월) 10시, Max Thunder 훈련 현장인 1전투비행단을 방문하여 제반 훈련계획을 점검하고 한.미 조종사들을 격려하는 등 현장지도를 실시했다. 박 총장은 이 자리에서 “한.미 공군의 팀워크는 완벽한 연합작전 수행을 위한 근간”이라며 “실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개되는 이번 훈련을 통해 한미 양국 공군 요원들이 연합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하는 것은 우정을 다지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현장 지휘관으로 훈련에 참가하고 있는 29전대장 류영관 대령(공사 35기)은 “한국군 주도로 실시하고 있는 이번 훈련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기 역할을 담당하는 29전대 조종사들은 한국 공군의 명예를 걸고 훈련에 임하고 있다”며 “복제에 있어서도 명찰과 패치를 바꿔다는 등 외적으로도 적군 복장을 갖추어 매서운 적군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고 전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