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 발생 3000t 중 수거는 600t… 대부분 불법 매립·소각
경남도내 최대의 수박산지인 함안지역에 각종 폐비닐이 늘어나고 있으나 처리가 제대로 안돼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3일 함안군에 따르면 군내 시설(비닐)하우스 재배면적은 수박 1812㏊, 참외 141㏊, 메론 114㏊, 기타 121㏊ 등 총 2188㏊로 연간 3000여t의 폐비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잠정집계되고 있다.
그러나 올들어 밀양자원이 군북·산인·여항·함안면 등 4개 면의 폐비닐 500여t, 영풍자원(창원 대산면)이 가야읍·대산·칠원·칠북·칠서·법수면 등 6개 읍면의 폐비닐 100여t 등 총 600여t을 수거해 한국자원재생공사(창원시 마산회원구 소재)를 통해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폐비닐 수거단가가 ㎏당 90원(장려금 80원, 국고지원 10원)으로 턱없이 낮고, 집하장까지 운반해야 하는 등 어려움이 많아 땅 속에 묻거나 소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재활용 수거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비닐하우스 보온용 덮개의 발생량은 폐비닐보다 많다. 이 덮개는 화학섬유인 솜을 포함하고 있어 매립하거나 태울 경우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고 있다.
대산면 구혜리 최호경(59)씨 등 농민들은 “최근 들어 소형트럭을 이용해 폐비닐을 수거하는 처리업체가 늘어나 ㎏당 90원을 받기 위해 집하장까지 폐비닐을 운반하는 농민들이 줄고 있다”며 “사실상 들판에는 제대로 처리 안된 폐비닐의 매립·소각으로 환경오염 등 문제가 많아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군 환경보호과 하해용 자원순환담당은 “비닐은 썩는 제품을 개발하고, 수명이 다한 보온용 덮개는 과수농가의 풀방지용으로 사용토록 하는 등 불법 매립·소각을 줄여나갈 계획이다”며 “폐비닐 처리는 농민 스스로가 집하장에 모아 자원재생공사를 통해 정상적으로 처리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