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정선호)은 전국 재배 면적의 53%를 차지하는 전남산 양파의 출하 시기에 맞춰 양파의 비브리오패혈증균에 대한 항균효과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양파는 백합과의 다년초로 파/부추/마늘처럼 독특한 냄새를 갖고 있다. 중앙아시아에서 유럽의 지중해연안으로 널리 퍼져 미국이나 인도로 전해지면서 발열/부종/위염 등 민간요법으로 활용됐으며 현재는 당뇨나 고지혈증/혈류 개선 등에 대한 유효성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양파에 대한 유효성분은 국내/외 많은 연구를 통해 유황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쿼르세틴(5.7~15.24 ㎎/100g)이라고 이미 밝혀진 바 있으며각각 외피와 가식부에 많이 함유돼 있다.
유황화합물은 파속(屬)이 갖는 독특한 냄새의 원인물질로 이소알리신/사이크로알리신/프로필알릴디설파이드 등 수백 종이고 혈압 및 혈당 강하/혈류 개선/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쿼르세틴은 항알레르기/자외선 방어/혈당 강하/항산화작용과 지방 흡수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최근 제한적으로 무안에서 재배(약 60ha)되는 개량종 자색양파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강력한 항산화물질로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식초/간장/향신료 등의 조미료를 가미해 장아찌로 먹을 경우 보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가열할 때는 단맛을 내기 때문에 예부터 조리에 많이 이용돼 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