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가 14일 부분파업에 이어 15일 전 조합원이 참여한 총파업을 강행해 도내 일선학교의 급식대란이 우려된다.
연대회의는 14일 공공운수노조 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 소속 충북지부 임원진을 중심으로 도내 10여개 학교 60여명의 조합원이 참여한 1차 경고성 부분파업을 강행한 데 이어 15일에는 도내 전 조합원이 참여한 가운데 총파업에 들어갔다.
연대회의는 “도교육청이 지난 8월 안타까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불성실한 교섭태도로 일관하면서 고용불안을 야기하는 일방적 배치기준 적용을 강제하는 등 비정규직 문제해결에 가장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1차 경고성 파업으로 14일 부분파업에 이어 15일 총파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연대회의 관계자는 이날 도내 전역 100여개 학교에서 약 500명의 조합원이 파업에 동참했다고 말했다.
전날에 이어 이날 총파업이 강행되자 도교육청은 해당학교에 긴급공문을 보내 학교급식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도교육청은 이날 10시 현재 약 30개교에서 급식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했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15일 총파업 강행에 따라 학생들이 점심을 굶지 않도록 최선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빵과 우유, 도시락 등을 통해 점심을 대체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학교비정규직 노조가 잇따라 파업에 들어가자 학부모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14일 부분파업이 강행되자 해당 학교 학부모와 충북학교학부모연합회 회원 등은 학교와 도교육청을 방문해 항의하는 한편 학교 급식을 아예 외부업체에 위탁할 것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연대회의는 이날 오후1시 청주 상당공원에서 전국지부 집행부와 도내 조합원 등 8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연대회의는 결의대회 직후 상당공원을 출발해 도교육청까지 약 4km 구간을 1∼2차로를 이용해 행진할 예정이어서 극심한 교통체증도 우려된다.
연대회의는 공공운수노조 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와 함께 추후 정부 및 교육청의 교섭태도와 쟁의조정 일정을 감안해 이달말 또는 다음달초 전국적인 총파업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전국적인 총파업 외에도 지역별 파업, 집회, 농성투쟁, 현장투쟁, 준법투쟁, 대시민 선전활동 등 다양한 수준과 방법으로 쟁의행위를 진행할 계획이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에 참여하는 공공운수노조(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 전국여성노조, 전국학비노조 등 3개 노조는 공동으로 전국의 국공립 유ㆍ초ㆍ중등학교 조합원을 대상으로 지난달 14일부터 이달 8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재적총인원 4만3691명(국립 134명, 공립 4만3557명) 가운데 3만6215명이 투표에 참여(재적대비 투표율 82.9%)해 3만716명이 찬성(총투표자 대비 찬성률 84.8%)함으로써 쟁의행위를 결의한 바 있다.
충북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지난해 4월 충북도교육청에 단체교섭을 요구한 뒤 5월부터 단체교섭에 들어가 지금까지 총 15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진전이 없자 지난 1일 충북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조정을 신청, ‘노사 자율 교섭을 통해 입장차를 좁히라’는 노동위의 요청에 따라 11일 조정에 들어갔으나 이마저도 양측의 현저한 입장차로 결렬되자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14~15일 파업을 예고했다.
도교육청과 연대회의의 주요 핵심쟁점사항은 학교비정규직의 교육감 직고용, 호봉제도입(연3만원, 정규직의 50% 수준), 상여금 기본급의 100% 지급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