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인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는 전주시 아트폴리스사업이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가운데 전주시가 특화거리 조성사업과 특화광장 조성사업, 경관개선사업 등 주요 사업에 대한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전주시는 ‘문화와 감성의 시대’인 21세기를 맞아 전통과 현대의 이미지를 가미한 디자인을 통해 도시 경쟁력 확보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훈풍을 불어넣고 있다.
민선 4기 초반 전주시는 변변한 대기업 하나 없이 소비도시, 중소도시라는 오명 아래 낙후를 거듭해왔다. 한국적인 도시임에도 전통미를 살리지 못함에 따라 도시 브랜드 가치 역시 주목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전주시는 ‘전주 경제 키우기 5대 역동산업’이라는 목표 아래 경제 성장을 중심축으로 한 아트폴리스 조성사업을 시정운영의 양대축으로 삼고 한국적 이미지와 현대의 세련미를 가미한 고품격 도시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위한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
가장 먼저 전주만의 아트폴리스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 지난 2007년 7월 ‘전주시 아트폴리스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규정을 제정했으며 전문가 토론회를 거쳐 전주시 아트폴리스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2008년에는 시정 최우선 과제로 삼아 아트폴리스 전주 10대 추진전략 등 세부적인 정책을 마련, 본격적인 사업에 뛰어들었다.
2008년 2월에는 여러 부서에 분산되어 있는 도시디자인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공공시설 및 민간시설까지 아트폴리스 구축 정책을 적용해 나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수립, 운영했다. 이어 아트폴리스과를 신설해 과장, 담당 등 전문가 3명을 영입했고 같은 해 7월에는 전주시 경관조례를 제정해내는가 하면 전주시 경관위원회 구성, 운영 등 아트폴리스 건설에 박차를 가했다.
삶의 공간을 새롭게 디자인하기 위한 분야별 기본계획과 가이드라인도 수립했다. 2008년에는 전주시 기본경관 계획과 아름다운 간판 가이드라인을 수립했고 2009년에는 전주시 야간경관계획과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도 수립했다. 2011년에는 전주시 환경탄소밸리 산업지구 환경디자인 ‘탄소누리’개발에도 행정력을 집중시켰다.
주요사업에 대한 성과도 눈에 띄었다. 특화거리, 특화광장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침체된 구도심을 활성화시켰으며, 아름다운 도시공간 연출을 위한 경관개선사업은 도시의 품격을 한 단계 이상 높였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