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융합형 스마트콘텐츠 개발 활성화 지원에 나섰다.
사물인터넷의 대표적 사례인 비콘을 활용한 융합형 스마트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SK텔레콤과 협력해 시험환경(테스트베드)을 안양 범계역 주변과 판교 테크노밸리 주변에 구축했다.
비콘이란, 저전력 블루투스 4.0(Bluetooth Low Energy: BLE)을 사용해 주기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에 활용할 수 있는 기기이다. 전력 소모가 작으며, 동전 크기로도 장치를 개발할 수 있어 실내·외의 구분 없이 설치와 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중소 스마트콘텐츠 개발사 및 개발자를 대상으로 비콘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융합형 스마트콘텐츠 개발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한다.
비콘 테스트베드는 안양 스마트콘텐츠센터를 중심으로 범계역 역사 내와 인근 상가지역, SW·콘텐츠 개발사가 밀집돼 있는 판교 테크노밸리 지역 내에 구축돼 용이하게 시험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실험실 환경이 아닌 현장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함으로써 비콘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상황을 시험할 수 있으며, 개발자 인접지역에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접근이 용이하도록 했다.
또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스마트콘텐츠 개발 기술지원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http://dtsc.etri.re.kr)를 통해 테스트베드 정보와 문제 해결을 지원하며, 스마트콘텐츠 개발을 위한 비콘(공급자 ㈜디오인터랙티브)을 대여한다.
26일 오후에는 판교 공공지원센터에서 개최되는 “스마트콘텐츠의 비콘 활용 위한 개발자 세미나”에서는 비콘의 활용 방안과 사례, 비콘 테스트베드의 구성 및 활용 방안이 소개될 예정이다.
또한 비콘 등을 활용한 위치기반서비스(LBS) 사업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SK텔레콤의 중소 개발사의 사업화 협력 및 지원 방안 등도 소개될 예정이다.
비콘 등 사물인터넷과 융합된 스마트콘텐츠는 실생활에서 쓰임새가 높은 다양한 아이디어가 발현되어 스마트폰, 태블릿의 디스플레이 영역 밖으로 이끌어내는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형 콘텐츠다.
미래창조과학부 김정삼 디지털콘텐츠과장은 “스마트콘텐츠에서의 비콘 활용, 더 나아가서 IoT와의 융합은 기존 시장과의 협력을 통한 상생과 더불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로 스마트콘텐츠의 다양성과 활용성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