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적인 총선 성적표를 받아 든 청와대는 장고에 잠겼다. 실무자들 사이에서는 국회와의 스킨십 강화, 내각과 참모진에 대한 인적 쇄신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오가지만 “이렇다 할 그림은 잡히지 않는다”는 게 대체적인 속내. 5월 1일 이란을 국빈 방문하는 박근혜 대통령이 출국하기 전 얼개를 만들어 ‘결심’을 받고, 귀국 후 이를 공식화한다는 시간표만 설정돼 있을 따름이다.
청와대를 가장 곤혹스럽게 만드는 부분은 특히 인적 쇄신. 일각에서는 임기 초부터 자리를 지켜온 몇몇 ‘장수 장관’을 교체하는 방안을 거론하고 있으나, 야권이 다수를 차지한 20대 국회에서 인준청문회를 통과하는 일부터 만만치 않은 까닭이다. ‘대통령이 달라졌다’는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려면 이병기 대통령비서실 비서실장을 필두로 하는 청와대 참모진에 대한 큰 폭의 개각이 가장 확실하지만, 미처 준비되지 못한 상황에서 마땅한 인물을 찾는 작업 역시 간단치 않다는 토로도 흘러나온다. ‘바꾸지 않으려는 게 아니라 바꿀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이야기다.
4월 18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남긴 메시지가 어정쩡해 보이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이라는 게 정통한 인사들의 해석이다. “국정 최우선 순위를 민생에 두고 경제발전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마무리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자 한다”는 핵심 문장에서는 경제정책에서 지금까지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뉘앙스가 강하게 묻어난다. 이를 한층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은 외교안보 관련 대목. “안보와 남북문제 등에서는 여야와 보수, 진보를 막론하고 모두가 하나가 돼야 할 것”이라는 부분이 특히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