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기원하는 제주해녀 전시와 공연이 처음으로 서울에서 열린다. ‘나는 해녀, 바당의 딸’ 전시가 오는 9월 5일~9일까지 닷새에 걸쳐 서울 예술의전당 신세계스퀘어 야외무대 일대에서 펼쳐진다.
이번 사진전에는 유명 작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세계적인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그룹 매그넘 포토스 소속의 데이비드 앨런 하비(David Alan Harvey)와 미국 및 유럽에서 독특한 해녀 사진전으로 주목을 받았던 김형선작가, 또 ‘행복을 그리는 작가’로 잘 알려진 스페인 출신 일러스트 작가 에바 알머슨(Eva Armisen)이 공동으로 해녀와 관련된 작품을 선보인다.
매그넘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내셔널지오그래픽’에 40편 이상의 사진을 게재한 앨런 하비는 “제주해녀의 자유로운 영혼과 유머 감각, 따스한 마음을 존경한다”며 “작은 테왁(부낭)에 의지해 차가운 바닷속을 돌아다니며 산소통도 없이 바다 밑에서 전복을 캐는 모습은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일이었다”고 사진작업 당시의 심정을 전하기도 했다.
‘나는 해녀, 바당의 딸’ 행사는 제목에서 짐작되듯 대한민국 문화의 중심 서울에서 제주해녀의 삶을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평생을 거친 제주 바다와 함께 해온 제주해녀들이 직접 제주해녀문화의 소중한 가치를 선보이는 시간도 갖는다. 전시회 마지막 날인 9월 9일 예술의전당 신세계스퀘어 야외무대에서 해녀합창단과 제주도립무용단, 세계적인 크로스오버 뮤지션 양방언 등이 출연하는 ‘나는 해녀, 바당의 딸’ 공연을 기획했다. 모든 전시와 공연은 무료다.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전통시대 21세기 여성으로서 살아온 제주해녀문화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이 행사를 기획했다”며 “제주해녀의 삶과 문화를 비롯해 우리의 소중한 전통 문화 보전에 국민적 관심을 모으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바다와 공존하며 여성 공동체를 유지해온 여성생태주의로서의 가치를 지닌 제주해녀문화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되었으며 오는 11월 에티오피아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정부간 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