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외교부는 제71차 유엔총회에 참여한 40여개국 외교장관들이 21일(현지시간) 북한 핵실험을 강력히 규탄하고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 폐기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우호국 외교장관회의’에서 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은 21세기 핵실험을 한 유일한 국가로 2006, 2009, 2013, 2016년 1월 및 9월 북한 핵실험을 강력 규탄(condemn in the strongest terms)한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면서 “모든 관련 안보리 결의 및 2005년 6자회담 공동선언문에 따른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북한은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프로그램을 폐기하며 관련 활동을 즉시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우리는 북한 핵 문제에 대한 평화적 해결의 필요성도 계속 강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모든 국가들은 핵무기실험 및 핵폭발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유지하고 CTBT의 대상과 목적을 저해하는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회의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라시나 제르보(Lassina Zerbo) CTBTO 사무총장과 CTBT 우호국 외교장관 등 40여명의 장관급 인사를 포함, 약 120개국 대표가 참석했다.
발언국들은 21세기에 들어 북한이 유일하게 핵실험을 자행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를 강력히 규탄했고 이러한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서라도 CTBT가 조속히 발효돼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윤병세 외교장관은 발언을 통해 “북한의 브레이크 없는 핵질주가 국제사회가 직면한 이 시대의 가장 심각하고 급박한 안보 위협”이라며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은 북한의 핵 야욕을 꺾지 않으면 국제사회가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CTBT의 발효가 지연되면서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실험과 같은 큰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