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서울시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으로 말미암아 단절된 전통과 현대 사이의 맥락을 잇는 ‘서울공예박물관 건립’을 위한 설계공모를 실시한다. 시는 ‘서울공예박물관’ 건립을 통해 우리나라 공예의 대표성을 지니는 곳으로서 공예의 가치를 알리고, 우리나라의 미의식을 전승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예는 ‘기능과 장식의 양면을 조화시켜 실용적 물건 및 예술적 조형물을 만드는 일’로, 시대·재료·용도 등에 따라 전통공예 및 현대공예와 같은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서울은 600년 조선의 수도로서 우리나라 전통공예의 정통성을 잇는 곳이며 특히 사업 대상지인 종로 일대는 5대 궁(경복궁, 덕수궁, 경희궁, 창덕궁, 창경궁)이 위치해 있는 곳으로 예로부터 왕실이나 양반가에 고급공예품을 제공하던 최고의 ‘경공장(京工匠)’들이 모여 있던 곳이기도 하다. 공예는 한 국가의 전통 및 미적 가치를 담고 있어 문화적 수준의 척도가 될 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와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서울공예박물관’ 건립 사업의 대상지는 풍문여자고등학교 부지로서 서울시 종로구 안국동 175-2, 175-102의 2필지이다. 이곳은 역사적 장소인 안동별궁이 존재했던 터로 당시 안동별궁의 담은 지금의 풍문여고 담장으로 유지되어 오고 있다.
설계의 범위 지역 중 풍문여고 건물 본관, 동관, 북관, 과학관, 정보관은 리모델링하여 활용하고, 나머지 부속건물을 철거 또는 이전할 계획이다.
사업부지는 지하철 3호선 안국역과 연결되어 대중교통의 접근이 용이하고, 대상지 서측의 율곡로3길(감고당길)은 인사동~북촌을 잇는 역사적인 옛길로서 현재 관광객이 많이 통행하고 있다.
사업 대상지 주변에는 북촌한옥마을, 창덕궁, 종묘, 인사동 문화의 거리, 경복궁이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한 문화벨트를 구축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번 설계공모를 통해 사업부지 주변에 다양한 문화·역사 장소(인사동 거리, 경복궁에서 창경궁까지의 거리)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울공예박물관과 창의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과 풍문여고 건물군의 역사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설계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설계공모 지침서 등 관련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공모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도시공단개선단으로 문의하면 된다.
시는 심사를 거쳐 12월 홈페이지에 심사결과를 게시할 예정이며, 당선자에게는 설계권이 부여된다.
김태형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장은 “이번 설계공모는 안동별궁~풍문여고~서울공예박물관으로 전환되는 시대별 양상을 담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역사의 흔적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박물관 본래의 전시, 수장 뿐만 아니라 시민 문화와 공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